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거용 해외부동산 취득 급증

일반 직장인도 해외근무·자녀유학때 현지 주택 "사자"<br>지난달 13건으로 작년 전체 신고 절반 달해<br>"국내 마땅한 투자처 없고 규제완화 영향" 분석


대기업 대리인 임모(37)씨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몬테벨로 지역의 60만달러짜리 주택을 구입했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보증금 2억원에 현지 모기지론을 활용해서 산 집이다. 임씨가 해외 주택을 구입한 이유는 간단하다. 2년간의 지사근무 발령을 받자 비싼 월세를 지불하느니 차라리 사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현지 부동산 가격이 최근 1년간 25%나 올랐고 당분간 이 같은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판단도 월세 대신 집을 산 이유가 됐다. 여유층에 국한됐던 해외 부동산 매입이 일반 직장인들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다. 임씨처럼 해외 지사나 자녀 유학 등으로 국외로 나갈 때 주택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해외 부동산 매입에 가세하고 있는 것. 16일 재정경제부와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월 중 주거용 해외 부동산 취득은 모두 13건, 송금액 규모는 480만달러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해 전체 신고(26건, 854만6,000달러)의 절반에 달하는 수치다. 지역별로는 캐나다가 6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과 중국이 각각 3건, 태국이 1건 등이다. 해외 부동산 취득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국내 부동산 규제 강화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투자자들이 최근 정부의 해외 투자 규제 완화에 따라 ‘밖으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주거용 해외 부동산 취득한도를 30만달러에서 50만달러로 확대한 데 이어 올 1월6일부터는 100만달러로 늘렸다. 여기에 원화 가치 상승도 해외 부동산 투자 확대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금융권의 분석이다. 해외 부동산 투자정보 제공업체인 뉴스타플러스의 이지현 대리는 “규제완화 이후 하루 수십여통의 문의전화가 쇄도하고 있다”며 “자녀의 유학을 생각하는 부모들의 상담이 특히 많다”고 말했다. 투자한도가 늘면서 지난해 7월 이전에는 전무했던 신고 건수가 7월 2건(송금액 53만6,000달러)을 시작으로 지난해 말까지 총 26건에 달했으며, 특히 올 들어서는 더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는 앞으로 내국인들의 해외 부동산 취득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김경현 루티즈코리아 팀장은 “매일 3~4건의 컨설팅을 진행 중”이라며 “전보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을 느낄 수 있다”고 전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9월 이후 7건의 해외 부동산 취득을 중개했고 현재 진행 중인 매매거래만도 35건에 이른다. 김종훈 재경부 외환제도혁신팀 사무관은 “일반적으로 해외 부동산을 매입하는 데 6개월가량 걸린다”며 “규제완화와 환율 하락에 따른 취득신고 건수 증가가 몇 달 뒤 수치로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