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계·반도체 '맑음', 섬유·철강 '흐림'

올 하반기 수출과 내수에서 기계, 조선, 반도체등의 업종은 호조가 예상되는 반면 섬유, 철강, 석유화학 등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5일 발표한 '주요 업종의 2006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조사'에 따르면 기계, 조선, 반도체 업종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두자릿수수출증가가 예상되는 등 전망이 밝았다. 이들 업종의 하반기 예상 수출 증가율은 조선이 27.3%로 가장 높고, 기계(16%),반도체(15.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전망은 조선의 경우 LNG선과 원유시추선 관련설비 전량 수주, 기계의경우 미국과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수출 확대, 반도체는 휴대폰 및 PC용 반도체 수요증가 등에 기인한 것이다. 내수에 있어서도 기계는 조선, 전자 등 연관산업의 설비투자 수요확대로 상반기(12.0%)에 이어 하반기에도 11.8%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고, 반도체는 13.9%의 증가가 예상됐다. 전자 역시 휴대폰 보조금 부활과 월드컵 특수 등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계속할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증가율이 수출은 13.0%로 상반기에 비해 증가폭이 커지고, 내수는 6.9%에 그칠 것으로 점쳐졌다. 그러나 섬유 업종은 중국산 저가제품의 국내외 시장잠식, 환율하락, 고유가 등으로 수출과 내수 모두에서 '매우 나쁨'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철강과 석유화학의경우에도 건설, 섬유 등 연관산업의 수요위축과 수출 감소 등으로 하반기에는 고전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섬유의 경우 수출(-0.7%), 내수(-1.9%), 생산(-6.3%)이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철강은 수출(-0.8%), 석유화학은 내수(-0.8%) 부문에서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정유 역시 전세계적인 공급증가 및 중국수요 감소 등의 여파로 하반기 수출 증가는 1.1%에 그치고, 내수는 유류제품에 대한 국내수요 감소 및 석유화학 경기위축등의 영향으로 상반기(-4.8%)에 이어 하반기에도 -1.0%로 둔화국면이 지속될 것으로전망됐다. 한편 자동차 수출과 건설 내수는 각각 9.3%와 8.3%의 증가율로 '다소 좋음'으로전망됐으나, 이는 지난해 하반기 부진에 따른 기술적인 반등으로 회복국면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상의측은 설명했다. 또한 철강 내수에 있어서도 상반기 마이너스 성장에 이어 하반기에는 4.4%의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됐으나, 이 역시 작년 하반기 마이너스(-0.9%) 성장에 따른 기술적인 반등에 불과하다고 상의는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