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반도 종전협상 이르면 내달 개막 선언

4개국 외교장관 회담서

남북한과 미국ㆍ중국 등 4개국 외교장관들이 이르면 다음달 중국 베이징에서 회담을 갖고 한반도 종전협상 개막을 선언한 뒤 북한 핵 폐기가 완료되면 4개국 정상이 모여 종전선언문에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4개국은 종전협상 개막과 함께 한반도의 전쟁종식과 군사적 충돌방지 및 신뢰구축, 비무장지대(DMZ) 평화적 이용, 북미관계 정상화 등 평화체제 구축에 필요한 모든 이행사항을 논의해 합의사항을 종전 선언문에 포함시킬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4자 정상의 종전선언 채택은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 임기(내년 2월24일) 안에 사실상 이뤄지지 어려울 전망이다. 북핵 6자회담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8일 K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한반도 평화체제 협상 개시를 선언하기 위한 당사국 정상회담의 연내 성사 가능성에 대해 “정상들이 모여서 (평화체제 협상 개시선언을) 하겠다면 개시 자체가 늦어진다고 볼 수 있다”며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천 본부장은 이어 “평화체제 협상을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려면 외무장관급에서 모여 협상 개시 선언을 하고 이어서 6자 회담에 나오는 4개국 수석대표들이 모여서 협상을 개시하고 그 협상 결과를 가지고 어떤 문서를 서명하는 것은 정상들이 모여서 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 대사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올해 안에 종전선언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종전선언 또는 평화체제 논의의 선결조건은 북한 핵무기 및 프로그램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폐기”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