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유화 법정관리 가나

단독생존.채권단 인수 걸림돌 많아 불투명법정관리→정상화후 해외매각 가능성 정부가 현대석유화학에 대해 조기매각 추진이 여의치 않을 경우 법정관리에 들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이 회사의 진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이 15일 아서앤더슨의 실사결과가 채권단에 전달된 뒤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이에앞서 정부와 채권단ㆍ현대유화는 아서앤더슨의 실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방향을 정할 계획이라고 밝혀왔다. 실사결과는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 대주주 유상증자와 채권단 출자전환을 통한 독자생존 방안 ▲ 대주주의 권리 포기로 채권단이 책임을 지고 매각에 나서는 방안등 2가지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중 어떤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회사의 전도가 극히 불투명한 것으로 보인다. 아서앤더슨이 마련한 단독생존안은 49.9%의 지분으로 최대주주인 현대중공업 등의 유상증자가 선결요건이다. 채권단이 대주주들에게 요구하는 증자수준을 대략 2,000여억원이다. 이 정도만 되면 채권단이 2,000억원 수준에서 출자전환을 시도해 사실상 4,000억원의 신규자금 도입만 효과만 봐도 현대석유화학의 생존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주요주주인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14.7%), 현대건설(11.6%), 현대산업개발(9.5%), 현대종합상사(7%)간에 유상증자를 합의할만한 장치도 의지도 없어 가능성이 크지않다는데 있다. 각 기업들이 계열사에 대한 지원을 줄이고 있는데다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이 사망한 이후 몽구ㆍ몽헌ㆍ몽준 3형제가 사업 문제를 놓고 토의할만한 물리적ㆍ정서적 바탕도 남아있지 않기 ?문이다. 채권단으로서도 이런 부분을 현대석유화학 정상화의 걸림돌로 보고 있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현대석유화학의 자본금 확충과 회사채 보증 등으로 이미 3,000여억원 정도가 묶여있는 상태다. 연초에는 현대석유화학의 기업어음 430억원을 사들이기도 했다. 최대주주인 현대중공업은 기회가 있을 때 마다 수시로 현대석유화학 문제에 대해 더 이상 참여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밝혀왔다. 외국인주주가 60%에 이르는등 경영권을 사용하기가 예전같지 않다는 점도 이유로 내걸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고려산업개발, 현대석유화학등 계열사들의 적자로 인해 지분손실이 수천억원에 이른바 있다. 두번째 방안으로 중공업등 현대 패밀리들이 증자에 나설 수 없다면 차라리 권리를 포기하고 채권단에게 현대석유화학 처리를 완전히 넘기라는 것. 그렇게 되면 매각 협상 파트너와도 운신의 폭이 넓어지고 시기도 앞당기는 등 현대석유화학 처리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골이 깊에 패인 현대 패밀리들이 부실덩어리를 놓고 책임을 나누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아서앤더슨의 실사결과를 보고, 매각을 전제로 방향을 잡되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법정관리를 한다는 방침이어서 현대유화로서는 뾰족한 방안을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대주주가 '강건너 불 보듯'하는 상황에서는 해외매각 밖에는 방법이 없다. 이를 위해 정부가 우선 법정관리를 실시, 부채를 동결한 뒤 경영정상화를 이뤄 매각에 직접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최인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