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희망! 스타트업] 美국방부 퇴직자 전직 앞장

흔히 전직지원(Outplacement)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민간기업만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일찌감치 전직지원 프로그램이 시작된 선진국의 경우 공공부문에서도 퇴직자들의 재취업이나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주요 선진국들은 '작은 정부'를 목표로 공공부문의 감량에 들어가면서 퇴직 공무원들에 대한 전직지원 작업을 병행해 나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이다. 특히 미국은 구 소련의 붕괴와 함께 냉전체제가 허물어지자 '신(新)국방계획'을 수립, 국방부문의 정예화를 추진중이다. 지난 90년대 중반부터 미국 국방부는 정보기술(IT)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국방부는 적극적인 IT 활용을 통해 구매계약 체계를 혁신하는 한편 운송시설 등 비핵심 부문에 대한 아웃소싱 비중을 늘려 나가는 추세다. 이처럼 IT 활용을 통해 인력이 남아돌게 되자 지난 96년부터 본격적인 인력 감원을 추진했다. '조직변혁'이라는 이름의 인력 감원 계획에 따르면 국방부 산하 인력은 오는 2010년까지 96년에 비해 67%수준까지 축소된다. 부문별 감원 비율은 ▦지원본부 33% ▦조달본부 21% ▦정보본부 36% ▦합참본부 29% ▦작전본부 10% ▦전투사령부 7% 등으로 비 전투 분야에 대한 인력 감원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 최근 발생한 미국 테러사태 및 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불구하고 이런 인력감원 계획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방부는 이처럼 중장기적인 인력감원을 추진하면서 총 대상 감원인원 33%(96년 기준) 중 13%는 완전 퇴출 대상으로, 나머지 20%는 전직지원을 통한 재취업 대상으로 확정했다. 국방부는 재취업 대상자들을 위해 노동부와 전직지원 컨설팅업체인 DBM의 지원을 얻었다. 공공부문에서는 노동부와 각 주 정부산하의 고용안정사무소, 지역 소재 커뮤니티 칼리지 등이 퇴역 군인들의 재취업을 위한 각종 지원을 제공했다. 퇴역 군인들의 재취업을 위해 커뮤니티 칼리지까지 동원한 것은 전국 곳곳에 설립되어 있는 커뮤니티 칼리지가 지역의 중소기업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지역별 인력수요 현황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DBM은 장성급 등 고급 장교들을 대상으로 전직지원 컨설팅 서비스를 시작했다. DBM은 이들 고급 장교에 대한 적성 및 경력 분석을 통해 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일자리를 연결해 주는데 주력했다. 예를 들어 인사참모로 재직한 퇴역장교들은 기업의 인사담당 임원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알선해 주기도 했다. 최동주 숙명 국제관계대학원 교수는 "일부 고급 장교들의 경우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로 재취업해 이사진뿐 아니라 주주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는 경우도 많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정문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