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 집권후반 친정체제 강화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 퇴진<BR>임기 전환점 맞아 국정 강력추진 차원<BR>핵심 측근 위주로 참모진 개편 가능성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의 퇴진으로 청와대 참모진용의 ‘컬러’가 주목되고 있다. 연세대 총장 출신의 김 실장은 이른바 ‘비코드형’ 인사. 국정을 무난히 관리해왔지만 정치적 리더십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여권으로부터의 교체압력에 시달리기도 했다. 진작부터 사의를 표명한 김 실장을 지켜온 노무현 대통령이 교체를 결심한 것은 오는 25일로 임기 전환점을 도는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여정부 후반기를 끌어가기에 적합한 인물을 발탁할 필요가 있는데다 문책성이라는 느낌을 주지 않는 지금이 교체 타이밍이라는 해석이다. 후임 비서실장 인선 등 청와대 참모진 새로 짜기는 국정을 강력하게 추진해갈 수 있도록 노 대통령 친정체제 강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10월 재보선과 내년 5월 지방선거 등 정치일정과 노 대통령이 주창한 ‘연정(聯政)’ 구상, 과거사 청산 등의 정치이슈를 감안할 때 ‘안정관리형’보다는 ‘친정체제형’ 내지 ‘정무형’ 참모진이 구축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일차적인 관심은 공석으로 남게 된 비서실장자리만 채울지 참모진을 대폭 교체할지 여부. 청와대는 일단 전면적인 개편 가능성에 무게를 두지 않고 있다. 그러나 비서실장 후임으로 청와대 참모진 발탁 등 핵심 측근을 기용할 확률이 더 높아 부분적인 참모진 개편 가능성은 열려 있다. 대통령 인수위 시절부터 ‘브레인’ 역할을 한 김병준 정책실장이 후임 비서실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이유다. 노 대통령의 확고한 신임을 받고 있는 문재인 민정수석의 조기 기용과 건강상의 이유로 물러난 박봉흠 전 정책실장의 기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권에서는 정치권과의 가교역할을 하도록 문희상 초대 비서실장과 같은 정치인이 기용되기를 내심 희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