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대형승용차 '전성시대'

내수시장 판매비중 '20%고지' 돌파<br>현대등 국내 자동차 5社 작년 13만9,550대 판매…전년보다 47.5%나 늘어


‘대형승용차 전성시대 왔다’ 국내 자동차업체들의 대형승용차가 내수시장 판매비중‘20% 벽’을 뛰어넘었다. 국내 자동차업체들이 품질경영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지난 1년여간 신형 대형승용차 출시경쟁을 가속화하면서 시장의 중심축이 중ㆍ소형차에서 대형차로 이동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GM대우, 쌍용자동차, 르노삼성 등 국내 5개 자동차업체의 대형승용차 내수판매실적은 모두 13만9,550대로 전년 대비 47.5%나 늘어났다. 지난해 5개사의 승용차 총 내수 판매량이 62만1,950대인 점을 감안하면 이중 대형승용차의 비중이 20.9%에 달하게 된 것이다. 그동안 국산 대형승용차의 내수 판매 비중이 ▦2002년 15.9% ▦2003년 18.1% ▦2004년 18.4%으로 20%미만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비약적인 발전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대형승용차의 약진을 이끈 것은 지난 1년여간 새롭게 출시된 신차들로서 특히 2004년 12월부터 시판된 르노삼성의 SM7은 지난해 총 2만5,675대가 국내 시장에서 판매돼 대형차부문 2위에 올랐다. 또 지난해 6월 현대자동차가 출시한 신형 그랜저는 대형차로는 처음으로 지난해 8월 전체 승용차 모델의 월별 내수판매 1위에 올랐으며 12월에는 역대 그랜저 모델로는 처음으로 월간 1만대 판매를 돌파(1만248대 판매)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더구나 올 연말에도 현대자동차가 배기량 3,800~4,500cc급의 고급 대형승용차(프로젝트명 ‘BH’)를 출시할 예정이어서 향후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신차효과에 따른 대형차 비중 상승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반면 같은 기간중 국산 중형차와 소형차의 내수 판매 비중은 각각 36.4%와 33.7%로 전년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실제로 경차의 경우만 해도 지난해 국산 승용차 내수시장에서의 판매비중이 7.5%(4만6,674대)에 불과해 전년(9.1%, 4만6,735대)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대형세단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국산 승용차의 품질 향상과 신차효과로 그간 수입차에 주로 의존해왔던 고급세단 소비자층이 대거 국산차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라며 “대형차 시장 확대는 국내 자동차산업의 고부가가치화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