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7월5일] 칠정산


‘내편의 역법으로 역을 추산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7월6일(음력)자에 실린 기록이다. 내편의 역법이란 칠정산(七政算). 조선의 독자적인 천문ㆍ달력 체계다. 세종실록의 기록은 1443년, 조선이 중국에 의존하던 시간과 달력, 기상과 천문관측을 완전히 바꿨다는 뜻이다. 칠정산은 문자 그대로 ‘7개의 움직이는 별을 계산한다’는 뜻. 해와 달, 5개의 행성(수성ㆍ금성ㆍ화성ㆍ목성ㆍ토성)의 위치를 파악해 절기는 물론 일식과 월식 등을 예보하는 역법체계다. 세종대왕이 고유 역법을 만든 것은 중국의 역법이 부정확했기 때문. 위도와 경도 차에 따른 오차로 일식과 월식을 제대로 계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현전 학자들을 대거 투입한 지 10년 만인 1442년 완성돼 이듬해부터 적용된 칠정산의 정확도는 상상을 넘는다. 원나라 수시력과 명나라 대통력을 한양의 위도에 맞게 수정ㆍ보완한 칠정산 ‘내편’에서는 1년을 365.2425일, 한 달을 29.530593일로 정했다. 현재의 기준과 소수점 여섯자리까지 일치하는 계산이다.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흡수한 ‘외편’은 원주를 360도, 1도를 60분으로 정한 새로운 기준을 담았다. 역시 오늘날 기준과 똑같다. 이 정도로 정교한 계산을 할 수 있는 나라는 당시 아리비아와 중국ㆍ조선뿐이었다. 일본이 고유역법체계라고 세계에 자랑하는 ‘정향력(1683년)‘도 칠정산의 계산체계를 전수한 조신통신사 일행 덕분이다. 칠정산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과학 한국의 상징물이다. 칠정산은 물론 혼천의, 앙구일부, 고도로 정밀한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 등도 마찬가지. 한동안 잊혀졌던 조상의 과학적 전통은 재도약을 기약하는 한국인에게 세계 최고 수준을 되찾기 위한 디딤돌이며 자양분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