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최종현 前 SK회장 '조림사업' 열매 맺는다

유실수·임산물 가공등 작년 346억 매출 올려

SK그룹은 인재양성 재원마련을 위해 올해로 39년째 나무를 심고 있다. 김영남(오른쪽 세번째) SK임업 사장과 임직원들이 지난 3일 경기도 오산 SK임업 조림지에서 잣나무 묘목을 심고 있다. 사진제공=SK

5일 식목일을 맞아 지난 1998년 작고한 고(故) 최종현 전 SK그룹 회장이 시작한 조림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SK의 한 관계자는 4일 "최 전 회장의 조림사업이 이제 결실을 보기 시작했다"면서 "SK임업이 유실수와 임산물 가공, 조경사업을 통해 지난해 346억원의 매출과 14억원의 순익을 냈다"고 말했다. SK임업 천안사업소에서 생산되는 호두는 '우리숲'이란 브랜드로 시판되고 있고 숲 가꾸기 부산물을 이용한 연료용 우드펠릿 사업이 시작됐으며 조림사업의 경험을 살려 조경업에도 진출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최 전 회장이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금으로 사용하겠다며 1972년 조림사업에 뛰어든 후 SK는 충주 인등산, 천안 광덕산 등에 여의도 면적의 13배에 달하는 4,100㏊(1,200만평)에 나무를 심었다. SK 관계자는 "이 조림지에서 뿜어져나오는 신선한 산소만도 매년 20만명이 숨 쉴 수 있는 규모"라며 "1㏊의 숲이 연간 50명이 숨 쉴 산소를 생산하는 것을 감안하면 중소도시 인구 규모인 20만명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SK임업은 올해부터 낙엽송이나 리기다소나무처럼 경제성 있는 수목으로 성장한 나무를 벌채하고 산소 보정량이 많은 수종으로 대체해 탄소배출권 확보에 유리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숲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휴양림 사업, 숲 부산물 가공사업을 개발 등을 통해 '기업형 임업'으로 전환해나가기로 했다. 최 전 회장은 산림녹화에 기여한 공로로 1일 경기도 포천 광릉수목원에 있는 '숲의 명예전당'에 올라 흉상 제막식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