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근로자 초과근로시간 감소

생산위축 영향 12.3%나…실질임금 0.3%상승 그쳐경기침체에 따라 기업들의 생산활동이 위축되면서 올들어 근로자들의 초과근로시간이 12.3%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노동부에 따르면 상용 근로자 5인 이상의 5,300개 표본사업체를 대상으로8월 현재 '임금ㆍ근로시간 및 노동이동 동향'을 조사한 결과 월 평균 근로시간은 202시간(주당 46.5시간)으로 전년 동기의 204.9시간(주당 47.2시간)에 비해 1.4% 줄어 지난해 9월 이후 감소추세가 이어졌다. 특히 정상근로시간은 월 평균 181.3시간으로 0.1% 감소한 반면 초과근로시간은 20.6시간(주당 4.7시간)으로 12.3%나 감소했다. 이는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생산 활동이 위축되면서 기업들이 수당을 지급해야하는 초과근로시간을 줄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의 주당 근로시간이 48시간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2.2%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상용 근로자 300~499인 사업장의 주당 근로시간이 46.3시간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3.3%나 줄었다. 근로자들의 월평균임금은 170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의 161만9,000원에 비해 5.2% 상승했으나 소비자물가 상승분(4.8%)을 감안한 실질임금은 134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0.3% 상승에 그쳤다. 노동이동 현황을 보면 8월중 신규채용자는 12만명, 퇴직ㆍ해고자는 12만8,000명으로 지난 6월이래 3개월째 퇴직초과 현상이 지속돼 연말 최악의 취업난을 예고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