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농협공제 "자보 판매대행부터"

민영보험사 인정때…"자회사 독립 계획없어"

농협공제가 민영보험사 지위를 얻을 경우 우선 자동차보험 판매 대행에 나설 방침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 생ㆍ손보 사업부문을 자회사로 독립시킬 계획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보험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어 양측의 공방이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농협공제의 한 관계자는 12일 “민영보험사 지위를 얻더라도 당장 자동차보험 시장에 직접 뛰어들 계획은 없다”며 “다만 관련 법규가 정비돼 가능하다면 자동차보험의 판매 대행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농협공제는 상품 개발 및 보상시스템 구축 등을 고려했을 때 자동차보험 자체를 취급하는 것은 무리지만 농협 지점이나 지방의 단위조합을 이용한 판매 대행은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농협의 점포 수는 전국적으로 5,000여개에 달한다. 따라서 농협이 판매 대행만 하더라도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농협공제는 민영보험사 지위를 인정 받는 방향으로 보험업법이 개정되면 변액보험 및 퇴직연금 시장에 진출해 생명보험 사업의 규모를 더욱 키워 나간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농협측은 보험업계의 요구 대로 공제사업 부문을 자회사로 독립 시킬 계획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 관계자는 “동일한 금융감독을 받는 것을 전제로 민영보험사 사업자 지위를 인정해 달라는 것”이라며 “자회사 설립은 검토 대상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반면 농협공제의 움직임에 대해 보험업계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특히 농협을 민영보험사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겸영 금지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생ㆍ손보협회측은 “농협이 은행업과 신용사업, 생명ㆍ손해보험을 모두 영위하는 것은 특혜”라며 “더욱이 보험사의 생ㆍ손보 겸영을 금지하고 있는 보험업법에도 위배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