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아스콘업체 "문 닫을 일만 남았다"

정유사들 아스팔트 가격 인상으로 9~11월 성수기에 줄도산 위기


“문 닫을 일만 남았습니다” 지난 26일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는 아스콘조합 소속 420개 업체 3,000여명의 임직원이 모여 정유사들의 부당한 아스팔트 가격 인상 규탄과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었다. 여기에 참석한 경남 D아스콘의 C대표는 궐기대회의 들뜬 분위기와는 달리 “이제 해볼 방법이 더 이상 없는 것 같다”며 긴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정유사들이 올린 아스팔트 값을 다시 내릴 것 같지도 않고 정부 담당자는 만나 주지도 않는다”며 “적자를 더 볼 것 같아 공장 가동을 중지했지만 이렇게 가면 결국 문 닫는 거 아니겠냐”고 말했다. 지난달 1일 4대 정유사가 아스팔트 가격을 kg당 400원에서 550원으로 평균 37.5% 올린 이후 전국의 아스콘 업체들이 부도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이미 제주의 삼부아스콘을 비롯해 충북 3곳, 충남 1곳 등 5개 업체가 부도를 냈으며 많은 업체들이 공장 가동을 중지하고 있어 이대로 가면 줄도산으로 이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조합이나 아스콘 업체들의 분위기는 사실상 부도 직전이다. 김동규 조합연합회 회장은 “마지막으로 대기업 총수에게 호소할 생각으로 SK 본사 앞에서 집회를 할 계획이었는데 이것마저도 방해공작으로 어려워졌다”며 “정부도 팔짱만 끼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은 방법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아스콘 업체들의 생존 경로는 두가지다. 정유사가 아스팔트 값을 원상복구해 내리거나 조달청이 관급가격을 올려주는 방법이다. 정유사는 지난 8월1일 가격 인상을 시도했다가 반발에 부딪혀 보류한 바 있다. 이후 한달 만에 “더 이상 감내하기 힘들다”라며 벙커C유 가격 인상을 근거로 아스팔트 값을 올렸다. 원상복구 움직임은 전혀 없다. 정부도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난 26일 궐기대회에서 아스콘 업체들은 조달청장 면담을 신청했지만 출장, 국감 등을 이유로 10월 20일 이후에나 보자는 회신을 받았다. 최근 지식경제부 고위 관계자가 “건설사들이 민수 공사에서 아스콘 가격을 올리면 이를 근거로 조달청이 관수 가격을 올릴 수 있다”라고 했지만 이 역시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관련 법상 민수 가격이 오르면 관수 가격을 올릴 수 있지만 민수 가격은 관수 가격을 따라가기 때문이다. 충북 S아스콘의 C대표는 “서로 상대 가격이 오르면 올려주겠다며 공을 넘기고 있는데 가격이 오를 턱이 있냐”며 탁상공론 뿐인 지경부에 대해 울화통을 터트렸다. 아스콘 업체들은 요즘 사면초가에 빠져있다. 이미 계약한 관공사는 지체상금이 무서워 어쩔 수 없이 납품을 하려고 하지만 정유사들이 그나마 아스팔트 공급을 제한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유사들은 공급 제한에 더해 일부이긴 하지만 지난 7~8월 공급분도 인상된 가격을 받고 있다. “정유사는 일방적으로 가격을 올리고 정부는 나몰라라 합니다. 뭉쳐서 대책을 세워달라고 요구하면 담합이라고 으름장을 놓습니다. 문 닫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습니다” 아스콘 업계의 최대 성수기인 9~11월에 아스콘 업계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