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정부 경기통계 오류 가능성

경제후퇴시 실제보다 부풀린 경우 많아경기 후퇴 초기에 정부의 통계가 실제보다 부풀려 나오는 경우가 많아 경기 판단에 착오를 일으키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미국에서 제기되고 있다.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 통계가 이를 보여주었고, 5월 실업률도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1일 발표된 미 노동부의 5월중 고용통계는 일자리가 줄어들었는데도, 실업률이 4.4%로 전달보다 떨어졌다는 모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UBS 워벅 은행의 이코노미스트 모리스 해리스는 "통계적으로 경제의 흐름을 전혀 반영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4월 27일 1분기 GDP 추정치를 발표할 때 상무부 통계관은 서비스 산업 구매력에 관한 자료가 4조 달러밖에 나오지 않았는데, 종전의 흐름을 추정, 2조 달러 정도를 추가했다. 그 결과 1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는 2.0%로 나왔고, 자료가 추가로 집계된 5월 25일 수정치에서는 1.3%로 떨어졌다. 서비스 산업 구매력은 경기가 나빠질 때 급속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통계관들이 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정부의 통계담당자들이 호황시절의 마인드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구체적인 자료와 수치가 나오기 앞서 관행적으로 추정치를 낸다. 이에 따라 경기 후퇴 시 급변하는 많은 정보와 조건들을 통계학자들이 무시하기 쉽고, 나중에 통계를 수정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통계학자들은 이를 '판단적 경향(Judgmental trends)의 오류'라고 부르고 있다. 지난 90년 3분기도 불황 초기였는데, 당시 정부의 GDP 성장률은 1.6%로 나왔다. 그러나 92년 미국 정부는 2년 전의 통계가 잘못됐다며 0%의 성장으로 수정했다가, 나중에 정확한 자료가 나왔을 때 마이너스 0.7%로 다시 수정했다. 소비자 구매력 증가율은 당시 3.6%에서 1.5%로, 직업 증가율은 플러스 0.4%에서 마이너스 0.5%로 각각 수정됐다. 뉴욕=김인영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