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석동 재경부 차관보 일문일답

김석동 재정경제부 차관보는 15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의 공적자금상환재원을 경제활성화 및 복지예산에 사용하자는 열린우리당 의견에 대해 "예산편성당국과 논의해보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김 차관보와의 일문일답. 열린우리당에서 공적자금상환재원을 경제활성화 등에 사용하자는 방안을 제시했는데. ▲ 2002년 말 국회심의를 통해 공적자금 상환대책을 마련했는데 총 69조원 정도가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봤다. 이 중 49조원은 재정에서 부담하고 20조원은 금융기관이 부담하기로 했다. 당시 대책을 마련하면서 매 5년 주기로 공적자금 상환 규모를 재계산하기로 했다. 따라서 2008년에 그동안의 여건 변화를 감안해 다시 규모를책정한다. 원칙적으로 2008년 재계산시 당초 예상보다 여유가 생기면 이를 활용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당정협의에서 제기된 사안인 만큼 예산편성 당국과협의를 해 보겠다. 공적자금 회수가 늘어나면 재원 전용이 가능하다는 뜻인가. ▲ 공적자금 투입기업의 구조조정이 잘 이뤄져 2002년 계산할 때보다 회수가 늘어나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도 공적자금 상환을 위해 3조2천억원을예산으로 요청했는데 당에서 이것을 축소할 수 있지 않느냐, 축소한다면 이를 다른데 활용할 수 있지 않느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실제 공적자금 투입기업 매각은 여러 여건이 불투명하다. 기업을 실제로 매각해봐야 얼마나 회수될 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언제 얼마나 회수될 지, 이를 어떻게 활용하지에 대해서 예산편성 당국과 종합적으로 검토해보겠다는 뜻이다. 지방선거 이후 정부 경제정책이 실종됐다는 지적이 많은데. ▲ 정책 기조를 일관성있게 가져가겠다는 정부 기본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 원칙과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제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구조적 문제가 있다면 근본원인을 찾아 해결해 나가겠다. 이와 관련해 중장기 조세개혁, 중소기업대책, 양극화 및 저출산고령화문제 해결 방안은 차질없이 진행한다. 하반기 경제운용방향 발표때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일정도 포함해서 제시하겠다. 글로벌 금리 인상에 따른 우리 경제의 충격은 없나. ▲ 글로벌 금리 인상이 국제무역량 감소나 경기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있지만 아직도 세계 경기는 호조를 보이고 있다. 금융시장을 볼 때 자금의 일부가개도국과 중진국 증권시장에서 선진국 채권 시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지만 우리증시는 견실한 경기에 바탕을 두고 있는 만큼 견뎌낼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