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송현칼럼/12월 6일] 해외 기업 M&A 적극 나설 때

해외에서의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단순한 공장설립 방식의 해외투자도 의미가 있지만 이젠 우리 기업들도 기업의 핵심역량을 짧은 시일 내에 끌어올려 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해외 인수합병(M&A)을 적극 추진할 때가 됐다. 해외 M&A를 통해 기업은 브랜드ㆍ시장ㆍ생산기반ㆍ핵심기술을 단시간에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장설립보다 실패위험이 더 크지만 해외 직접투자에서 대세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한국 기업의 해외 M&A, 특히 미국 등 선진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M&A는 중국ㆍ인도에 현저히 뒤져 있는 상태다. M&A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소 중의 하나가 시기(Timing)의 선택이다. 지금은 시장환경과 자금유동성 및 M&A 가격을 고려할 때 해외, 특히 미국 등 선진국 기업들에 대한 M&A에 나서야 하는 적기다. 먼저 한미 양국의 시장상황을 살펴보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양국시장이 하나의 시장이 된다는 점에서 FTA 발효 이전에 선진기술 확보와 세계 최대 소비시장인 미국시장의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M&A를 준비해야 한다. 둘째, 미국의 금융시장은 금융위기 후 1차와 2차에 걸쳐 공적자금 대거 투입되면서 대형 금융기관들은 풍부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부한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M&A 대상 기업들의 가격은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 낮은 상태이다. 많은 미국 기업들이 향후의 경기불확실성이나 소비ㆍ실업률 등 부정적인 경제지표들 때문에 자금은 많이 보유하고 있어도 아직 적극적으로 M&A시장에 뛰어들지 않고 있다. 셋째, 최근 수 년 동안 중국ㆍ인도 기업들의 미국 내 M&A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을 빠른 속도로 사들이면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좋은 매물들이 점차 줄어들 뿐 아니라 앞으로 훨씬 높은 인수가격을 지불해야 할 상황이 올 것이다. 미래경쟁상대인 중국ㆍ인도 기업들의 미국 내 M&A가 더 가속화하기 전에 한국 기업들이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때를 놓치면 한국 기업들은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매물과 시기를 잘 골라 M&A를 해도 인수 후 관리(Post Acquisition Management/PAM) 능력을 잘 갖추지 않으면 미국 내 M&A는 성공할 확률이 적은 편이다. 실제 세계적인 한국 기업들 중에서도 미국에서 M&A를 성공시킬 역량을 가지고 있는 회사는 그리 많지 않다. 지난 20여년 동안 미국에서 크고 작은 한국 기업의 M&A가 있었지만 거의 실패로 끝났다. 한국 기업들의 과거 사례에서 보면 인수 기업의 타당성 검토시 시장ㆍ상품ㆍ기술 등 사업적 재무적 요소를 중요하게 검토하지만 보이지 않는 소프트한 요소들을 간과해서 인수 후에 고전하는 경우를 많이 봐왔다. 기업문화ㆍ관리체제ㆍ인적자원들의 충분한 이해가 없어 핵심인력이 이탈하거나 조직 통합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고 합병 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한 나머지 높은 가격을 지불하거나 인적 구조조정비용, 제품 책임, 환경 책임, 우발채무 등 인수당시 실현 안 돼 있지만 인수 후 나타나는 비용ㆍ부채 등을 간과해 큰 손실을 입은 사례도 있었다. 가격을 높게 사더라도 인수 후 PAM에 성공하면 성공한 M&A가 되는 것이고 가격을 낮게 사더라도 PAM에 실패하면 실패한 M&A가 되는 것이다. PAM은 해외 M&A 성공의 열쇠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역량을 갖추는 것은 단기간에 이뤄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M&A 계획단계에서부터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또한 미국에서의 M&A는 앞서 언급했듯 미 실현 부채요소, 법률, 세무, 관리 체제, 딜(deal)구조 등 한국과는 다른 것이 많으므로 인수 당시뿐만 아니라 PAM 과정에서도 현지 전문가의 활용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와 같이 매우 낮은 수준의 해외 M&A로는 앞으로 한국 기업들이 성장의 한계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해외 M&A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기업들이 적극적인 의지와 필요한 관리역량을 스스로 갖춰야 한다. 정부도 세계시장을 하나로 보고 국내산업 육성하듯이 해외 M&A를 지원할 세제 금융 등을 포함한 정책 및 토대(예: 해외 M&A에서 생기는 자본 소득 세제혜택, 외환 보유고의 일부를 활용하거나 전용대출제도 등 자금조달 지원책 등)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