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학에 주식투자등 수익사업 허용

효율적 자산운용 가능…"재정난 숨통" 등록금 부담 덜지 관심<br>"손실발생 등 부작용 대비한 보완책 필요"


대학에 주식투자등 수익사업 허용 효율적 자산운용 가능…"재정난 숨통" 등록금 부담 덜지 관심"손실발생 등 부작용 대비한 보완책 필요" 노희영기자 nevermind@sed.co.kr 윤홍우기자 seoulbird@sed.co.kr 교육부가 대학의 주식투자를 허용함에 따라 대학들은 보다 효율적인 자산운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 쇼핑몰 운영 등 각종 수익사업이 허용되면서 대학의 재정 확충 기회가 크게 확대되는데 이 것이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 완화로 얼마나 이어질 지 주목된다. 31일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 교육력 향상 지원방안’에 따라 전체 5조7,000억원에 달하는 사립대학 적립금을 주식 등 유가증권 등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미 미국의 경우 대학들이 재정확충을 위해 대학기금의 일정액을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기금펀드를 마련해 연간 10%대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하버드대는 한국의 1년 교육예산과 맞먹는 규모의 발전기금 운용을 위해 자체적인 자산운용회사를 세워 연간 16.19%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지금껏 은행 예금에 주로 투자해 연평균 4~5% 수익에 그쳤던 국내 대학과는 대조적이다. 이에 대해 각 대학 재무 담당자들은 “투자 대상이 주식 등 고위험 고수익 자산으로 다양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며 장기적으로 펀드 등 간접투자를 통한 주식투자를 검토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대학내 유휴공간을 임대해 수익사업을 하거나 기업과 협력해 세운 ‘학교기업’이 보다 다양한 업종의 사업을 영위할 수 있게 된 점에 대해서도 대학들은 환영하고 있다. 교육부는 ‘학교기업’의 금지업종을 102개에서 21개로 대폭 줄여 백화점 등 각종 소매업을 비롯해 영화관, 스키장 운영까지 허용했다. 주성영 서강대학교 재무팀장은 “이번 규제 완화로 출판, 어학교육 등 교육과 연계된 각종 수익사업이나 후생복지시설과 관련한 임대사업이 가능해졌다는 점은 크게 반길만 하다”면서 “그동안 학생들의 등록금 수입에만 의존하면서 재정난에 시달리던 대학들의 숨통이 틔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대학들의 재정여건이 개선될 경우 등록금 인하 및 장학금 지원 확대 등 학생들의 재정적 부담도 한층 덜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와세다대학의 경우 지난해 외화표시 채권 등에 투자해 발생한 수익으로 올해 장학금 규모를 지난해보다 44% 늘리면서 화제가 됐다. 한양대학교 관계자는 “아직 초기단계여서 장담할 수는 없지만 주식투자나 임대사업 등을 통해 수익확보가 담보된다면 등록금 인하도 검토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주식투자로 손실이 발생하거나 수익사업을 무리하게 진행하다가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으며 이 경우 학생들에게까지 피해가 돌아갈 수 있는 만큼 보완책 마련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입력시간 : 2007/05/31 17:18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