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쟁심화로 환율 변동해도 수출가 그대로'

외환위기후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돼 원.달러 환율이 내렸는데도 수출 가격을 올릴 여지가 없어지는 등 시장상황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원화 환율 변동의 수출가격 전가행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81년부터 외환위기전인 97년까지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상품 가격전가계수는 -0.61로 나타났다. 수출전가계수는 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가격 하락 등을 지수화한 것으로 수출전가계수가 -0.61이라는 것은 환율이 10% 올랐을때 수출 가격이 6.1% 내려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지난 81년부터 작년까지 전가 계수는 -0.39로 98-2000년 환율이 하락했을때 수출 가격을 올리지 못하거나 오히려 동반 하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후 전가 계수가 낮아진 것은 외환위기 당시 크게 올랐던 환율이 그 이후 큰 폭으로 내렸으나 수출 채산성을 보장해주는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또 기술혁신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등으로 반도체, 철강 등 주력 수출품의 국제 가격이 하락세를 보여 환율이 떨어지더라도 가격을 올려 수출 채산성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줄어드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이와함께 지난 81-2000년간 수출 전가계수가 높은 품목은 펄프.종이제품(-0.988), 화합물.화학제품(-0.797), 비금속광물(-0.734%), 목재.나무제품(-0.708) 등 원재료를 주로 수입하는 품목이었으며 섬유제품(-0.226), 일반기계.장비(-0.247), 자동차.트레일러(-0.256) 등 고부가가치 제품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양태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