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돈줄 막히고 증시도 기능상실 금융대란 현실화

◎주가 25P 또 폭락 6백선 붕괴/정부 특단대책 서둘러야마침내 금융대란이 시작됐다. 쌍방울·태일정밀 등이 사실상 부도를 낸 데 이어 국내 유수 대기업들의 연쇄부도설과 함께 주식시장도 종합주가지수 6백선이 무너지면서 금융대란이 촉발됐다. 올들어 한보, 기아사태이후 계속된 금융시장 경색이 재벌 및 중견기업의 잇따른 부도를 불러온데 이어 이제는 기업부도가 다시 금융시장을 마비시키는 악순환이 거듭돼 금융대란이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다.<관련기사 2·3·5·6·14·15면> 특히 16일 그동안 속락하던 주가가 무려 25·49포인트나 떨어져 종합주가지수 5백79·25포인트를 기록, 지난 9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가라앉으면서 기업의 직접금융조달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돼버렸다. 증시가 기업의 자금조달기능을 상실하고 엄격한 통화관리 때문에 은행의 대출창구가 좁아져 기업들이 종금사 등 2, 3금융권에 의존, 단기자금조달에 치중할 수밖에 없게 돼 연쇄부도의 회오리에 휘말리면서 금융대란이 현실화됐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정부는 「시장경제원리」만 되뇌이면서 금융시장 안정대책은 외면한 채 중장기 과제에만 몰두, 금융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 정치권도 경제회복에 도움을 주기는 커녕 대선을 앞두고 비자금 폭로와 고발 등으로 금융시장의 불안심리를 키우는 정쟁에만 몰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증시에서는 다시 부도리스트가 나돌고 금융계, 재계는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불안한 상황에서 극도로 몸을 사리고 있는 형편이다. 국가경제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가 실종된 듯한 모습이다. 경제전문가들은 현상황에서는 실물과 금융의 분리가 불가능하지만 우선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특단의 대책만이라도 서둘러 마련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최근 기업부도를 양산하고 있는 종금사 등 2금융권에 대한 대책과 기업 자금조달구조의 왜곡을 불러오고 있는 증시 대책이 하루빨리 수립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이세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