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포스트 탈레반 논의 급류속으로

유엔, 2년 과도정부체제등 5개원칙 제시 집권 탈레반에 맞서 싸워 온 북부동맹이 13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점령하게 됨에 따라 포스트 탈레반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탈레반의 주력이 남부 칸다하르에 있는 만큼 카불 함락을 탈레반 정권의 붕괴로 보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탈레반 축출은 이제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것이 대다수 국제 전문가들의 분석이며, 이에 따라 새정부 구성을 둘러싼 주변국들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 UN,직접 개입 배제에 무게 유엔(UN)은 카불이 함락되자마자 아프간의 모든 정파가 참여하는 2년 과도정부 체제 도입 등 새정부 구성과 관련한 5개 원칙을 제시했다. 즉 제 정파가 참여하는 회의 소집→정부 구성 방법을 논의할 임시위원회(과도정부) 구성→임시위원회의 2년내 권력이양 방안 논의→아프간 종족대표자회의(로야 지르가) 소집→로야 지르가 2차회의에서 헌법 인준 등의 절차를 거쳐 새정부를 구성한다는 것. 유엔의 이 같은 입장은 언뜻 중립적인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속내'는 아프간 사태의 직접적 개입 회피에 무게가 실린 것으로 국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 아프간 주변국 신경전 치열 아프간 새정부 구성과 관련한 정치적 공백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해득실을 앞세운 주변국들의 신경전도 치열해지고 있다. 현재 북부동맹은 탈레반 제외를 새정부 구성의 제일 원칙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그 동안 북부동맹을 지원해 온 인도 역시 탈레반 배제를 외치고 있다. 반면 파키스탄은 탈레반을 지지하고는 있지만 최대 종족인 파슈툰족의 참여가 필수라며 북부동맹의 독주를 견제하고 있다. 이란 역시 탈레반 온건파의 참여를 주장하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도 미묘한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3일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아프간 국민들이 그들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지어야 한다는데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그 이면에는 중앙아시아에서의 상대방 영향력 확대를 막기 위한 물밑 힘겨루기가 지속되고 있다는 게 국제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정구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