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달러 매도개입외 다른 방법도 모색"

재정부 "보유외환 축내지않고 안정방안 강구"<br>외평채 발행 통한 달러화 직접 조달등 검토

7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의 외환시장 대응책은 외환보유고 매도를 동원한 시장 안정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당국은 달러화 보유고 매도개입 외에 다각적인 환율안정 방안도 검토 중이다. 최종구 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외환보유고를 축내지 않고 환율을 안정시킬 방법을 강구 중”이라며 “아직 밝힐 단계는 아니지만 몇가지 효과적인 수단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2,500억달러를 넘어 일부에서 ‘과다 축적’ 논란도 제기되고 있지만 국제금융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 대외신인도를 유지하려면 적정선의 외환보유고 유지는 필수이기 때문이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달러화 수요가 많아 환율이 오른 것인 만큼 원론적으로 공급을 늘리는 방향으로 환율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기본적으로 달러화의 국내 유입을 늘리기 위한 방안들을 놓고 재정부에서 막바지 작업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재정부는 “아직은 발표 단계가 아니다”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지만 달러화 공급을 늘리기 위해 외평채 발행을 통한 정부의 직접적 달러화 조달 등 다각적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달러화 수요 초과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정유업체 수요를 분산시키는 방안도 논의 대상으로 꼽힌다. 최 국장은 이와 관련, “외환위기 당시 보유고를 대출했다가 정작 필요한 시점에 달러화가 부족했던 경험이 있다”며 “외환보유고를 이용한 직접 대출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못을 박았다. 하지만 또 다른 재정부 고위관계자는 “지금 달러화 상승은 대부분 정유사 수요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유사의 달러화 조달을 해외로 분산시키는 등 방안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