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아이토피아] '바이브 PC' 거실 점령

TV와 연결로 부팅없이 전원 켤 수 있어<br>블로그·온라인 영화 인터넷 서비스 만끽<br>신혼부부들 DVD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집 안의 중심은 어디일까. 거실(?), 아니면 안방(?).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가정에서 집 안의 중심은 TV가 놓여 있는 거실이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들은 인기 있는 드라마나 스포츠 경기가 있을 때마다 온 가족이 한자리에 둘러앉아 TV를 보면서 화목을 다진다. 결국 TV가 생활의 중심 미디어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PC가 TV 자리를 노리고 있다. 서서히 생활 중심 미디어의 교체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바이브 PC, 거실 점령= 최근 삼성전자, LG전자, 한국 HP 등은 바이브 PC를 내놓고 거실 점령에 나섰다. 바이브 PC는 디지털 TV와 곧바로 연결할 수 있고, ‘퀵리줌’(Quick Resume) 기술을 도입해 별도의 부팅 없이 즉각 전원을 켤 수 있다. 리모컨으로 조작이 가능해 PC보다는 가전제품에 더 가깝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 PC의 핵심은 대형 TV를 통해 거실에서 블로그와 온라인 영화 등 각종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TV의 방송을 PC 하드디스크에 저장해서 원하는 시간에 볼 수도 있고 생방송을 잠시 멈췄다 보는 ‘타임머신’ 기능도 가능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제품은 일반 타워형 데스크 톱이 아니라 마치 DVD 플레이어처럼 생긴 게 공통점이다. LG전자가 올해 초 선보인 바이브 데스크 톱 PC ‘AV센터 DV70 시리즈’는 하드디스크드 라이브(HDD) 용량이 300GB나 된다. 가격은 184만원. 삼성전자의 바이브 PC ‘매직스테이션 MT50’은 DVD 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켜자마자 바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으며, TV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재생하는 PVR 기능도 있다. 녹화는 최대 500 시간까지 가능하다. 가격은 200만원 대 초반. 한국 HP의 바이브 PC 1호는 ‘HP 파빌리온 미디어센터 PC m7370kr’이다. TV 수신 카드를 내장하고 있어 200GB의 대용량 HDD에 좋아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해 뒀다가 나중에 볼 수 있다. 가격은 21인치 와이드 LCD 모니터를 포함해 230만원 대. 본체만 사면 150만원 대다. ◇신혼부부, PC 주변기기로 ‘첨단생활’= 경제적으로 안정이 안된 신혼부부도 PC 주변기기를 잘 활용하면 거실에서 PC로 작업하다가 TV도 보고, 주말에 영화도 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 둔 사진 역시 편하게 출력할 수 있다. 대부분 좁은 집에서 출발하는 신혼에게 15.4인치 와이드 노트북 PC는 최우선 고려 대상이다. HP의 ‘dv4000시리즈’와 삼성전자의 ‘센스 X50ㆍR50’이 적당한데, 가격대에 따라 DVD 기록 기능과 무선 리모컨 등 다양한 기능들을 덧붙일 수 있다. 조금 작은 것을 원하면 14인치 대의 LG ‘엑스노트 익스프레스 LW40’을 눈 여겨 볼만하다. DVD, 디빅스 플레이어로 폭 넓게 활용하려면 TV 출력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관련 액세서리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영화를 좋아하는 커플이라면 저렴하면서도 고화질의 프로젝터가 적격이다. 동급 최강 성능의 HP ‘vp6311’은 높은 해상도와 2,000: 1의 높은 명암 비율로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 PC 이외에 PDA, DVD, TV 등 어떤 장치와 연결해도 최적의 설정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슬림한 곡선의 디자인과 함께 보안 케이블 겸용의 통합형 손잡이가 있어 어느 곳에나 손쉽게 옮길 수 있다. 가격은 99만원. 포토 프린터를 구입해 신혼 초기의 달콤함을 사진일기로 옮겨보는 것도 좋다. 한국 HP의 초소형 포토 프린터 ‘포토스마트 475’는 휴대가 간편해 언제, 어디서나 들고 다니면서 출력을 할 수 있다. 가격은 32만9,000원. 삼성전자의 ‘포토 S’는 워크맨 크기(180ⅹ136ⅹ66mm)에 무게는 1.1kg이다. ‘픽트브리지’라는 인쇄 표준화 기술로 모든 디카와 폰카를 연결해 사진을 인쇄할 수 있다. 출력과 동시에 코팅이 돼 손자국이 남지 않고 물이 묻어도 색 번짐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