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금 대덕에선…] 이산화탄소 회수기술 상용화 연구 박차

에너지기술硏 이창근 박사팀… 비용도 절반으로 줄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발전소 굴뚝에서 쏟아져 나오는 배기가스로부터 저렴한 비용으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내는 기술을 개발중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9위의 이산화탄소 배출국가. 국제적인 이산화탄소 규제 등에 대응하기위해서는 이 같은 기술 개발은 필수적이다. 에너지연 청정시스템연구센터장인 이창근 박사는 회수비용을 절반정도 줄일 수 있는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회수'기술의 상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를 회수하는데 기존 습식방식의 경우 비용이 높고 폐수발생 문제가 있지만 현재 개발중인 건식은 비용을 낮추면서도 폐수발생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게 이박사의 설명이다. 이 박사팀이 연구중인 기술은 전력연구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0.1㎜크기의 미세한 흡수제를 이용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1차 반응기에 건식 흡수제를 불어넣은 뒤 이산화탄소와 결합된 흡수제를 분리해 2차 반응기로 보내게 된다. 2차 반응기에서는 흡수제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추출하고, 처음 상태로 돌아간 흡수제는 다시 1차 반응기로 보내 반복 사이클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 박사팀은 이미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실험실 차원의 연구개발을 마치고 발전소ㆍ철강ㆍ시멘트 공장 등 이산화탄소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시설의 상용화 기술을 개발중이다. 이 분야는 실험실 차원의 연구결과 보다 발전소 등의 대규모 시설에 적용 가능한 실증기술과 경제성을 입증하는 것이 연구개발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박사팀은 지난해말 실험실 규모 시설의 약 50배에 달하는 시간당 100N㎥ 규모의 연구시설 준공을 마쳤다. 이 연구시설은 화력발전소와 같이 석탄을 태워 발생되는 실제 배기가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회수ㆍ분리하는 실험을 반복하고 있다. 시간당 150만N㎥ 규모의 배기가스를 처리해야 하는 발전소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공정에 맞는 구조와 온도, 반응기 형태 등을 찾아내기 위한 실험이다. 이 박사는 "현재 이산화탄소 회수는 탄소톤당 120달러의 비용이 필요하지만 배기가스에서 80%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추출하면서 60달러 수준으로 비용을 낮추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