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스公, 이라크 유전개발 '파란불'

이라크 정부, 자격심사 합격 35개 기업에 포함<br>쿠르드 자원개발 참여 석유公·SK에너지는 제외

이라크 중앙정부와 쿠르드 자치정부 간 마찰로 차질을 빚어온 우리나라의 ‘이라크 유전개발 참여’에 녹색불이 켜졌다. 14일 지식경제부와 한국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이라크 석유부는 이날(현지시간) 이라크 원유ㆍ천연가스 개발 입찰에 신청서를 제출한 전세계 120개 기업 가운데 한국가스공사 컨소시엄(LG상사ㆍ대우인터내셔널ㆍ한화 등) 등 자격심사를 통과한 35개 기업의 명단을 발표했다. 합격자 명단에는 셰브런ㆍ엑손모빌 등 미국 기업이 7개로 가장 많았고 BP 등 영국기업 3곳이 포함됐다. 아시아에서는 한국 1곳을 비롯해 인펙스홀딩스ㆍ미쓰비시ㆍ니폰오일 등 일본 기업 4곳, CNOOCㆍ시노펙ㆍCNPC 등 중국 기업 4곳, 말레이시아ㆍ인도ㆍ인도네시아 회사 각각 1곳이 포함됐다. 그러나 이라크 정부는 그동안 수차례 강조한대로 이라크 정부의 승인을 얻지 않고 쿠르드 자치정부와 독자적으로 유전개발 계약을 맺어 블랙리스트에 오른 외국 기업은 한 곳도 자격심사를 통과시키지 않았다. 때문에 그동안 쿠르드 지역 자원개발에 참여한 한국석유공사와 SK에너지는 이번에 고배를 마셨다. 하지만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이라크가 가스공사를 선정했다는 것은 앞으로 한국과 자원협력을 지속하고 싶다는 의사로 보인다”며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이 관계자는 또 “입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현재 원유 생산량인데 가스공사 컨소시엄의 경우 석유공사ㆍSK에너지에 비해 훨씬 낮다”며 “따라서 이라크 중앙정부와 쿠르드 자치정부가 화해하고 정치적으로 안정되면서 블랙리스트가 폐지될 경우 석유공사ㆍSK에너지는 당연히 이라크 유전개발 사업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