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신용경색땐 즉각 개입" 재확인

靑 경제현안점검회의,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모니터링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파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청와대에서 경제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국내 금융상황 및 대응방안을 재점검했다. 정부는 14일 오전 청와대 서별관에서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주재로 회의를 갖고 추가 신용경색 사태가 발생할 경우 즉각 시장에 개입한다는 방침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 김용덕 금융감독위원장, 김대유 청와대 경제수석, 김용민 경제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통상 한달에 한두번 정도 청와대에서 열리는 경제현안 점검회의의 일환이며 미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영향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참석자들은 미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점차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추가 신용경색 사태가 벌어지면 즉각 시장개입에 나서기로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금융정책협의회의 컨틴전시 플랜이 현 단계에서 적절한 조치임을 확인하고 유럽과 미국 등 국제 금융시장의 향후 변동에 따라 추가 대책을 마련할지를 판단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올해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국내 금융시장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금융정책협의회를 통해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하는 등 우리 정부도 초기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며 말했다. 앞서 재경부는 지난 13일 금융정책협의회에서 국내 금융시장의 신용경색이 우려될 경우 한은을 통해 긴급 자금지원에 나서고 환매조건부채권(RP)을 사들여 자금을 풀기로 한 바 있다. 또 참석자들은 국내 기업의 해외 자금조달에 애로사항이 없는지 파악하는 한편 외국인 투자의 유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제2금융권의 건전성 강화 대책을 계획대로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