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고]홈쇼핑의 성공요인과 경쟁력

지난 95년 케이블TV 2차 프로그램 공급채널(Program Provider)의 하나로 홈쇼핑이 도입됐을 때, 대다수 사람들은 홈쇼핑의 성공 가능성에 회의적이었다.상품 실물을 직접 보지않고 구매하는 것이 우리 국민정서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을 것이란 생각과 함께 미국을 제외한 어느 나라에서도 TV홈쇼핑사업이 성공한 사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업초기 케이블TV 가입자가 늘지 않아 한때 이런 우려가 현실화 되는가 싶었지만, 그 어려웠던 IMF시절에도 불구하고 홈쇼핑 산업은 100% 이상의 높은 신장률을 이어가며, 우리나라는 미국 다음가는 세계 2위의 홈쇼핑 강국으로 급부상했다 첫 해 30억원에 불과했던 홈쇼핑의 시장규모는 7년이 지난 올해 5조원 규모로 성장했고 TV뿐만 아니라 카탈로그, 인터넷쇼핑몰 등 신규매체까지 아우르며 백화점, 할인점 등 오프라인유통에 맞서는 온라인유통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홈쇼핑산업의 성공 요인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홈쇼핑발전의 가장 큰 요인을 꼽으라면 무엇보다도 홈쇼핑에서 상품구입을 해온 일반 소비자들을 빼놓을 수 없다. 우리 고객은 초기의 우려와는 달리 홈쇼핑이라는 신유통 매체에 놀라울 정도로 빠른 적응력을 보여주었다. 이 점은 우리국민이 인터넷, 정보통신 등 IT분야에 신속히 적응, 세계 최고의 IT선진국으로 부상한 저력과 근본을 같이 한다고 생각된다. 상품을 직접 만져보지는 못하지만 충분한 상품정보와 가격경쟁력이 있는 홈쇼핑사업의 속성을 파악하고 집에서 상품을 주문, 배송 받을 수 있는 편리함에 빨리 익숙해진 것이다. 여기에는 쇼핑시간을 줄여 사회활동이나 여가활동에 더 큰 시간을 할애하려는 사회적 욕구도 바탕이 되었음은 물론이다. 홈쇼핑 성공의 또 다른 요인은 우수한 상품을 적정한 가격에 대량 공급해준 수많은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이다. 좋은 제품을 갖고 있어도 독자적인 브랜드와 마케팅 능력이 없어 고전해온 중소기업들은 홈쇼핑 판매를 통해 값싸고 품질 좋은 다양한 히트상품을 만들어 냈다. 최근에는 대형 가전제품 등 대기업 상품도 취급하고 있지만 여전히 홈쇼핑 판매상품의 90%는 안정적인 유통망을 갖지 못한 중소기업 제품들 이다. 이들 중 일부 업체들은 부도에서 회생하고, 연 매출 1억원도 채 안됐던 지방 중소기업이 연 100억원 대의 높은 매출을 올리는 등 홈쇼핑사와 함께 동반 성장한 사례가 많다. 홈쇼핑산업은 지금 미래유통의 주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 우선 올해들어 홈쇼핑시장은 기존의 2개사 이외에 신규사업자 3개사가 진입해 본격적인 다자 경쟁체제에 들어섰다. 그 동안 선두기업 2개사가 선의의 경쟁을 통해 홈쇼핑산업을 성장시켜온 것처럼 앞으로는 5개사가 힘을 모아 상품 품질, 가격, 고객서비스 등에서 공정경쟁을 펼쳐 홈쇼핑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전체 유통시장을 놓고 볼 때 홈쇼핑은 이제 더 이상 소규모 신생업종이 아니다. 현재 전체 소매 유통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 미만이나 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10년내 오프라인 유통과 대등한 시장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이제 홈쇼핑은 유통노하우가 앞서 있는 백화점, 할인점 등과 미래유통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현재 세계 2위의 경쟁력을 갖춘 국내 홈쇼핑산업이 세계정상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필수적이다. 그 동안 국내 홈쇼핑은 유통산업의 급변기를 맞아 볼륨을 키우는 데는 성공했지만 앞으로는 세계무대로 나아가기 위해 체력을 보강하는 일이 필요하다. 업계와 당국 등 홈쇼핑 관련자들은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경쟁력 강화라는 공통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최종삼 LG홈쇼핑 경영지원 담당 상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