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관매도속 사라진 월말효과 "왜?"

매월 25일을 전후해 적립식 펀드로의 자금유입을 바탕으로 시장을 큰 폭 끌어올리던 '월말효과'가 이번 달에는 27일이 되도록 나타나지 않아 반등을 기대했던 시장의 애를 태우고 있다. 프로그램 매매분을 제외하면 투신권을 위시한 기관들은 25일과 26일 연 이틀 순매도에 나선데 이어 27일에도 대규모 '팔자'에 가담하며 오히려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형국이다. ◆ 기관도 부담스럽다 = 기관은 이번 주 들어 연 사흘 순매도에 나서며 25일째'팔자' 공세를 펴고 있는 외국인 투자자들과 보조를 맞추고 있다. 기관은 지난 25일 276억원을 순매수했지만 프로그램 매매의 영향분을 제외하면420억원 순매도였고 26일에는 순매도 규모가 2천780억원으로 더욱 늘어났다. 이날 오후 1시40분 현재 기관은 프로그램 매매분을 포함, 2천억원을 순매도하면서 연 사흘 '팔자'에 가담하고 있다. 외국인에 이어 기관마저 소극적 자세로 돌아서면서 지난 25일 장중 1,200선을회복했던 종합주가지수는 결국 하락 반전했고 26일과 27일에도 역시 기관의 매물확대와 함께 장중 반등시도가 무위로 돌아가는 등 기관의 매도세에 눌린 시장이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자금을 대거 흡수한 기관마저도 추후 장세에 대한 '믿음'이 점차 엷어지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삼성증권 오현석 연구위원은 "외국인의 매도공세로 기관의 시장에 대한 자신감이 다소 약해진 것 같다"며 "미국의 장기 금리 상승에 따른 부작용이 외국인뿐 아니라 기관 입장에서도 경계해야 할 변수로 다가왔기 때문"이라고 현 상황을 해석했다. 이달 들어 일평균 펀드유입액이 1천800억원으로 더욱 늘어나면서 기관이 막대한'실탄'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그간 시장의 버팀목으로 인식돼왔지만 이 부분도 외견상 수치와 실제는 다를 수 있다는 관측도 기관에 대한 기대수준을 낮추는 요인이다. 결산을 마친 펀드가 재투자되는 부분이 신규 유입액으로 잡히는 '착시효과'를감안하면 실제 증가분은 일평균 1천400억원대로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하이닉스 효과'도 한몫 = 기관들이 연 사흘 매도세를 보인데 또다른 이유는전날 장 마감 뒤 이뤄진 하이닉스의 채권단 지분매각을 필두로 이어질 채권단의 대형 지분매각도 한 몫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이재훈 애널리스트는 "전일 기관 매도는 낮은 가격에 하이닉스 지분을 매수하기 위한 자금 마련 차원의 결정으로도 짐작할 수 있다"고 지적했고 삼성증권 오 위원도 "채권단이 매각할 하이닉스, LG카드, 우리금융 지분의 매수를 위한실탄 확보 필요성이 기관 매도에 일정폭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세계 증시의 향방을 결정지을 내달 초 미국의 금리결정 시점까지는 '월말효과'에 기댄 반등 기대 수준도 낮아질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한양증권 홍순표 연구원은 "기관이 강력한 매수세를 유입시키지 못할 경우 11월1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외국인의 기조적인 차익실현 압력이가중될 수 있어 현 시점에서 상승 모멘텀 형성이 쉽지 않다"며 모멘텀과 수급 여건의 호전 가능성이 포착되기까지 보수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