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설특집] 한복, 격식 제대로 갖추면 단아함·맵시 두배

女한복, 속옷 제대로 입는 게 중요<br>속치마는 겉치마보다 2~3㎝ 짧게<br>고름 길이는 무릎 바로 밑이 적당<br>대님은 안쪽 복사뼈에 시접선 닿게


[설특집] 한복, 격식 제대로 갖추면 단아함·맵시 두배 女한복, 속옷 제대로 입는 게 중요속치마는 겉치마보다 2~3㎝ 짧게고름 길이는 무릎 바로 밑이 적당대님은 안쪽 복사뼈에 시접선 닿게 김현상 기자 kim0123@sed.co.kr 옛 속담에 ‘옷 입기가 반 바느질’이라는 말이 있듯이 아무리 멋지고 근사한 옷도 제대로 갖춰 입는 법을 모른다면 차라리 안 입은 것만 못한 법이다. 특히 한복처럼 명절이나 몇몇 특별한 날 이외에는 자주 입지 않는 옷의 경우 평소 제대로 입는 방법을 알아두지 않으면 막상 오랜만에 꺼내 들었다가 입는 법을 몰라 쩔쩔매게 마련이다. 단아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우리 전통의 한복이 빛을 발하는 설을 맞아 맵시 있게 한복 입는 법을 알아보자. ◇여자 한복 입는 법= 먼저 속옷을 제대로 갖추어 입는 것이 중요한데 여자의 경우 속바지를 먼저 입고 브래지어로 가슴을 고정시켜준다. 그 다음에 속치마를 입고 버선을 신는데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2~3cm 짧게 입는다. 원래 버선은 버선코가 안쪽으로 향하게 신도록 되어있지만 요즘엔 버선 자체가 방향에 상관없이 제작되므로 발 사이즈에만 맞추어도 된다. 다음은 겉치마를 입을 순서. 어깨끈에 양팔을 넣고 치마끈으로 가슴 부분을 둘러 매듭으로 고정시켜주면 된다. 이때 겉자락을 왼손으로 잡을 수 있는 방향, 즉 본인의 오른쪽 치마가 겉자락으로 오면 올바르게 입는 법이다. 치마끈의 매듭은 보통 중앙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고름 부분의 모양을 울퉁불퉁하게 하므로 팔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한쪽을 정해주도록 한다. 치마끈 자락이 저고리 밑으로 보이지 않도록 둘러진 치마끈에 한두 번 돌려준다. 치마가 겹치는 폭은 뒤에서 보았을 때 한 뼘 정도가 적당하다. 속저고리도 있지만 요즘에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저고리를 입고 고름을 맨 후 옷매무새를 정리해주면 완성이다. ◇남자 한복 입는 법= 남자의 경우 바지를 먼저 입는다.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둘레를 조절하고 허리띠를 묶는다. 입은 사람의 오른쪽 방향으로 접힌 부분을 넘기면 방향이 맞다. 최근에는 허리띠를 바지에 붙여 디자인한 경우가 많아 편리하게 입을 수 있다. 저고리를 입을 때는 안쪽의 띠를 묶어주고 고름을 매면 된다. 버선을 신은 후 대님을 매는데 대님 대신 매듭 단추로 디자인된 경우는 단추를 잠그면 된다. 다음으로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를 차례대로 입으면 된다. ◇저고리 매는 법= 먼저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으로 잡은 후 긴 고름은 아래로, 짧은 고름은 위로 가도록 ‘X자형’으로 잡는다. 위의 짧은 고름은 안쪽으로 집어넣어 잡아 빼고 위의 짧은 고름을 돌려 감는다. 돌려감은 짧은 고름 사이로 긴 고름을 넣어 고를 만든다. 팽팽하게 잡아당겨 고가 매듭의 1.5배 정도 되도록 만들어 준다. 끝으로 고름 매무새를 잘 정리한 다음 끝자락 두 고름을 가지런히 밑으로 늘어뜨리며 고름은 맸을 때 길이는 무릎 바로 밑까지 내려오도록 한다. ◇대님 매는 법= 안쪽 복사뼈에 바지의 사폭 시접선이 닿게 한다. 발목을 감싸듯 바짓부리를 바깥쪽 복사뼈에 접은 선이 닿도록 한다. 그 다음에 대님을 대고 두 번 돌려서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는다. 매듭을 리본 모양으로 묶되 발목 안쪽에 오도록 하고 매듭 모양이 매끈하도록 다듬은후 바지모양을 매만져마무리한다. • 설날의 유래와 세시풍속 • 귀성길, 정체·우회도로 미리 알아두자 • 임시 화장실등 편의시설 대폭 확충 • 고향가는 길 즐겁고 편안해요 • 고속도로 교통혼잡 예상구간 • 휴게소에서 차량안전점검 받아볼까 • 기름 넣고 선물 받고 공연도 보고… • 정체 고려 기름 넉넉히 채워라 • 휴대폰 하나면 고향 길이 즐겁다 • 선물준비? "휴대폰으로 주문하세요" • TV영화, 황후화 外 • 한국영화, 더 게임 外 • 외국영화, 명장 外 • 신나는 뮤지컬·국악 가락에 '흥얼흥얼' • 부모님께 든든한 실버보험 어때요 • 가입전 보장범위·기간·할인혜택 따져봐야 • 튀김류보다 야채·나물 먼저 드세요 • 음식 만들때 화상 '조심' • 용산, 전형적인 배산임수지로 부각 • 올 토지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4인가족 차례비용 평균 21만원 • 한복, 격식 제대로 갖추면 단아함·맵시 두배 • "절하는 법 미리 알아 두세요" • 우리 아이 색동 한복 입혀 볼까 • 아동한복 구입·관리 요령 • 산으로… 바다로… 명절증후군 어느새 싹~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