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비자는 봉?

가슴 멍드는 車 소비자 자동차업체들과 정부 부처간의 줄다리기에 소비자들의 가슴만 멍들고 있다. 현재 자동차업계 최대 이슈는 지난해 말부터 적용한 특소세 인하 조치를 언제까지 연장하냐는 것과 디젤 차량 판매 금지여부다. 특소세의 경우 29일 재정경제부가 8월말까지 2개월 연장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인하분을 놓치지 않으려 시간을 다퉜던 소비자들은 완전히 왕따를 당했다. 자동차 메이커들은 6월말에 특소세 인하조치가 끝나면 적게는 수십만원, 게는 수백만원을 추가 부담한다는 일종의 시한폭탄식 마케팅을 펼쳤다. 이에 따라 무려 수십만대의 가수요가 발생해 자동차 업체들은 쾌재를 불렀으나 소비자들은 6월말까지 자동차를 출고하기 위해 가슴을 졸여야 했다. 최근 특소세 환원을 예상해 급증한 예약으로 대기중인 물량은 무려 18만대에 이른다. 카렌스를 예약한 한 소비자는 "특소세 환원이 되기 전에 자동차를 받으려고 애를 써보고 있으나 자동차 회사에서는 무조건 기다리라고만 한다"면서 "정부 역시 자동차 관련 세금을 정리하고 금액도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는 7월로 예정된 디젤차량 환경기준도 '태풍의 눈'이다. 자동차업체들은 환경부가 제시하고 있는 배출가스 기준이 외국 선진메이커들도 맞추기 힘든 수준이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환경부의 대응도 완강하다. 환경부는 최근 시민단체, 기업체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공동위원회를 구성해 배기가스 기준을 협의키로 했다. 문제는 적용시한이 한달도 안 남은 상황에서 합의 도출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데 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ㆍ기아자동차가 해외 수출을 무기로 정부를 너무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다"면서 "이미 지난해부터 확정된 기준을 무시하려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환경부도 자유로운 것만은 아니다. 카렌스,카니발 등 인기차종의 생산을 중단시킬 경우 고조될 여론의 부담이 적지 않은 까닭이다. 알다시피 자동차는 국민 모두가 애용하는 대상이자 수출에서도 큰 몫을 차지하는 주력 제품이다. 정부나 기업 모두 신중한 처신이 필요하다. 최인철<산업부>기자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