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업 수익성 3년만에 최악

1,000원어치 팔아 68원 남겨…제조업 4곳중 1곳은 적자


우리 기업들의 수익성이 지난 2003년 이후 3년 만에 최악의 상황으로 떨어졌다. 유가 급등과 환율 하락 등으로 채산성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조업 4곳 중 1곳은 물건을 팔아봤자 손해를 보는 적자기업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5일 1,525개 상장ㆍ등록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1ㆍ4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를 보면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보다 1.6%포인트나 떨어진 6.8%에 그쳤다. 이는 1,000원어치를 팔아 고작 68원을 남겼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1ㆍ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한은이 조사를 시작한 2003년 1분기의 9.0% 이후 가장 나빴다. 제조업체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돼 2003년 1ㆍ4분기 8.8%에서 지난해 7.9%로 떨어지더니 올 1ㆍ4분기에는 5.9%까지 곤두박질쳤다. 영업이익률에서 지분법 평가손익 등을 감안한 경상이익률도 전체 기업 기준으로 지난해 1ㆍ4분기 10.2%에서 8.5%로 내려앉았으며 제조업만 놓고 보면 9.8%에서 올 1ㆍ4분기에는 7.7%로 급감했다. 특히 제조업 가운데 경상이익률로 본 적자업체의 비중은 26.8%에 달해 4곳 중 1곳은 출혈생산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업 중 내수기업의 경상이익률은 지난해 1ㆍ4분기 13.4%에 달했으나 올 1ㆍ4분기에는 8.6%로 무려 4.8%포인트나 급락했다. 반면 수출기업의 경상이익률은 환율 하락과 국제유가 상승 등 경영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7.4%에서 7.1%로 소폭 하락하는 선에 그쳤다. 송윤정 한은 경제통계국 과장은 “환율 급락과 유가 급등이 수익성 하락을 이끌었으며 여기에 중국 업체의 과잉공급 영향을 받은 철강 업종의 부진도 큰몫을 했다”며 “2ㆍ4분기 이후에도 좋지는 않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