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통신시장 지각변동 예고

■ 통신서비스 결합상품 연내 출시<br>KT·SKT 독주차단이 과제<br>시내전화+이동통신 등 업체서 상품 자율설계<br>케이블방송 결합도 검토


이르면 올해 말부터 통신시장에 대규모 지각변동이 진행된다. 유선전화, 이동전화, 초고속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한데 묶어 제공하는 패키지(결합) 상품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통신서비스 업체들은 보다 경쟁력이 높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다각적인 제휴, 나아가 합종연횡을 불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통신부는 결합상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KTㆍSK텔레콤 등 지배적 사업자와 후발 업체들간의 형평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요금 적정성 심사 등 다각적인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KT와 SKT가 시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중심으로 치열한 ‘힘 겨루기’가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이익 증진 및 산업 활성화 가져올 듯=정통부의 결합상품 허용 방침은 시장을 키워 산업 활성화를 꾀하는 동시에 소비자 이익도 높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조경식 통신전파방송정책본부 통신경쟁정택팀장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통신서비스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 케이블 TV방송과 통신서비스 상품을 묶어 판매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통신서비스 업체의 결합상품 판매를 언제까지 묶어둘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KT 같은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결합상품 판매를 허용하면 소비자후생이 늘어날 뿐 아니라 시장도 활성화된다”면서 “다만 결합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영향력이 그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보완하는 것이 큰 숙제”라고 설명했다. ◇자율적 상품 설계로 업체들의 제휴 불가피=정통부의 방침에 따르면 어떤 서비스를 묶어 패키지로 만들지는 전적으로 업체 자율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통신업체들은 시내전화, 초고속인터넷, 이동전화 등 주요 통신서비스를 중심으로 3개 또는 4개의 상품을 묶어 판매할 수 있게 된다. 결합상품 등장과 함께 KT는 가장 큰 주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시내전화, 초고속인터넷 등 결합상품을 구성하기 위해 반드시 끼워 넣어야 할 통신서비스 분야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KT는 현재 시내전화와 초고속인터넷, 자회사인 KTF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묶어 결합상품을 만드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여기에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의 케이블 TV방송을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SKT는 상대적으로 선택의 여지가 많다. SKT는 경쟁력이 높은 상품을 구성하기 위해 하나로텔레콤이나 SO는 물론 KT와의 제휴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SKT의 한 관계자는 “결합상품 등장과 함께 통신서비스 시장은 유ㆍ무선 통신 업체간의 제휴를 넘어 합종연횡이 활발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쏠림 현상’ 방지하는 게 큰 숙제=결합상품 등장과 함께 가장 큰 우려는 시장에서 영향력이 높은 KT나 SKT 등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 정통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요금 적정성과 다른 경쟁업체의 동등한 접근성 보장을 ‘카드’로 활용할 방침이다. 현행 약관 인가 정책을 바탕으로 지나친 요금 할인 경쟁을 막는 동시에 후발 업체가 KT나 SKT의 통신서비스를 동등한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내용이다. 정통부는 요금 적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결합상품 요금의 하한선을 설정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