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동탄 2신도시내 외국계기업은 존치 검토" 소식에 국내 中企들 "형평성 위배" 반발

"신도시내 공단 설치땐 이전 할것"

정부가 경기도 화성 동탄2신도시 건설 예정지구 내 외국계 기업들의 존치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이곳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대다수 국내 중소기업들이 형평에 어긋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무조건적인 공장부지 수용 거부 입장에서 벗어나 정부가 신도시 내에 공단을 설치해줄 경우 이전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7일 화성상공회의소 및 동탄 지역 중소기업들에 따르면 동탄2신도시 건설로 공장부지가 수용 대상에 들어가는 700여개 중소기업들은 최근 청와대와 건설교통부 등에 대체토지 취득과 공장이전 등에 어려움이 크다며 ‘동탄2신도시 예정지구 내 기업대책 건의문’을 보내는 등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특히 정부가 외국인 기업들을 신도시 내에 우선적으로 남겨두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대해 대책에 형평성이 없다며 정부의 적절한 조치가 없을 경우 강력히 저항할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수용기업대책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이대로 신도시 개발이 진행된다면 수용 대상인 700여개 국내 중소기업들이 입지문제 때문에 경영난이 가중될 것”이라며 “신도시 내에 공단을 설치해 대상 기업들을 유치하는 게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장부지 일부가 수용될 예정인 무선통신 장비업체 A사의 B사장은 “현재 책정된 보상비로는 대체 공장부지 마련이 불가능해 폐업을 고려하는 업체들이 많다”며 “정부가 절대다수인 국내 기업은 외면한 채 20여개도 채 되지 않는 외국계 기업만을 위한 대책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공장부지 이전에 반대하는 이 지역 중소기업들의 분위기는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경기도가 동탄2신도시 예정지구 내 742개(등록공장 248개, 미등록공장 158개, 제조장 336개) 공장 중 394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30%(118개)가 현재 부지에 그대로 남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 대상에서 이 지역 공장의 절반이 넘는 300~400여개 영세 중소기업들이 빠진 것을 감안할 때 이전거부 비율은 훨씬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세 중소업체인 C사의 D대표는 “정부가 공장등록을 하지 않은 영세 중소업체의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며 “조만간 각 지역 사업장 대표들이 모여 의견을 수렴한 뒤 청와대 등 관계부처에 요구사항을 분명하게 전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설교통부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현재 경기도 주관으로 공장대책을 수립 중이며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오는 11월까지 공장대책을 마련해 기업들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