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2월 18일] 인턴에 정규직 기회 더 넓혀줘야

공공기관이 내년 인턴 채용규모를 늘리고 인턴의 정규직 채용 비율을 확대하기로 함에 따라 인턴제도의 실효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내년 284개 공공기관이 모두 1만명의 인턴을 채용하며 정규직 신입직원 채용의 20%를 근무성적이 우수한 인턴 가운데 뽑을 방침이다. 내년 채용규모는 올해보다 1,000명, 인턴채용 첫해인 2008년에 비해서는 4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내년 정규직 신규채용 규모가 1만명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2,000명 정도를 인턴 중에서 채용하게 되는 셈이다. 인턴제도는 취업을 앞둔 청년들에게 미리 실무능력과 기업문화 등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취업역량을 높이고 공공기관이나 기업들로서는 적성과 자질 파악 및 업무교육 등을 통해 인력운용의 시간과 비용을 줄인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인턴은 핵심 업무가 아닌 사무보조나 허드렛일 등을 하다가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그만두게 됨으로써 인턴제도에 대한 관심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오히려 인턴기간 중 취업시험 준비에 소홀할 수밖에 없어 불리한 측면마저 있다. 따라서 인턴제도가 고용사정 개선과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정규직이 될 기회를 늘릴 필요가 있다. 정부가 인턴 규모를 늘리는 데서 한발 더 나아가 인턴에서 정규직이 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로 한 것도 이런 측면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각 공공기관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인턴들에게 1개 이상의 프로그램 참여를 의무화하는 등 취업교육을 강화하고 일정 비율의 근무성적 우수 인턴에게는 입사추천서를 발급하도록 했다. 공공기관 인턴의 정규직 충당비율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소속기관에 정규직으로 채용되지 못한 인턴들의 민간기업 정규직 채용을 돕겠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각 공공기관이 얼마나 의지를 갖고 이를 실천하느냐다. 그래야 인턴제도가 단순한 시간 때우기와 임시방편의 일자리 대책이 아닌 실질적 청년실업 해소 대책이 될 수 있다. 최근 들어 포스코 등 민간기업들도 엄격한 인턴 선발과정을 거쳐 인턴을 정원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인턴제도 정착을 위해 공공기관들도 정규직 채용비율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