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IMF시대 알짜기업] LG전선

「97년 경상이익 37억원, 98년 경상이익 355억원.」LG전선(대표 권문구)의 지난해 성과는 이 한마디로 요약된다. 무려 10배 가까운 신장률을 보였다는 것에서 그간의 노력을 충분히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결실은 전형적인 내수형 산업으로 꼽히는 전선에서 거둬들였기에 더욱 값지다. 97년말 외환위기와 함께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달러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원재료를 해외에서 들여와 제품을 국내에 파는 업종은 암흑기를 맞았다. LG전선도 예외는 아니었다. 전선의 원재료인 동은 국제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달러를 써야했고 내수시장은 완전히 죽어 가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이 넘지 못할 산은 아니었다. LG전선은 밖으로 뛰기 시작했다. 해외수출을 늘리지 못한다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각오를 다졌다. 권문구 부회장이 직접 단장을 맡고 모든 임원을 참여시킨 「해외사업단」을 조직했다. 책상에서 결제만 하는 최고경영자의 틀을 벗어던지고 해외정보를 수집하고 회의를 주재하는 등 실무자와 똑같이 일했다. 權부회장은 해외사업단을 조직하면서 『이제 수출이란 단어는 쓰지 말자. 수출은 국내가 아닌 다름 지역에 물건을 파는 행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며 해외사업을 어려워하는 직원들을 독려했다. 전 임원을 단원으로 참가시켜 내월 해외수출을 위한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국내부문과 간접부문의 인력을 해외부문으로 전진해치하는 등 조직과 기능을 모두 「바다건너」에 맞췄다. 그 결과 20% 남짓하던 수출 비중이 40%까지 올르면서 7,00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는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수출에서 벌어들이겠다고 장담하고 있다. 물론 수출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준것은 아니다. 인원도 줄였다. 원가를 낮추기 위해 머리를 싸매기도 했다. 주력사업인 광케이블 분야와 초고압전력은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뚫어 나갈때 전선의 기본제품이라 할 수 있는 절연전선과 권선도 그에 못지 않는 역할을 맡아줬다. 눈에 띄는 것은 고부가가치 사업을 찾아 진출했던 부품과 고무제품, 산업용 알루미늄 등이 국내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50%나 성장한 점이다. 『지난해 실적이 좋았다고 올해도 같을 것이라는 기대는 금물이다.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적자사업인 기계부문에 대한 구조조정을 마무리지어야 한다. 350%인 부채비율도 연말까지는 200%로 낮춰야 한다.』 權부회장을 비롯한 LG전선의 전 임직원들은 이 각오로 98년을 뛴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