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진주 땅값 올라 공공사업 차질

혁신도시 등 개발호재 영향…보상가 협의 난항

혁신도시 지정과 함께 전국체전 유치 등 잇단 개발 호재로 경남 진주지역의 땅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각종 공공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문산읍 일대 106만평이 경남 혁신도시 개발 예정지로 지정되고 2010년 제91회 전국체전 개최까지 확정되자 각종 개발 청사진이 봇물을 이루면서 이 지역 땅값이 최고 4배 이상 폭등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평당 10만원 안팍에 거래돼 온 문산읍 일대가 지금은 투기세력들에 의해 단번에 최고 40만원선까지 오른 후 좀체 내리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처럼 오른 땅값 때문에 진주시가 추진 중인 각종 공공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진주시는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 집중 육성하고 있는 바이오산업 기반조성을 2008년까지 완공할 계획이었지만 땅값 급상승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혁신도시 인근인 문산읍 삼곡리 1만5,000여평 부지에 조성 중인 ‘바이오 벤처플라자’의 경우 전체 부지의 30% 가량만 매입된 상태에서 땅값폭등으로 지주들과 보상협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이곳과 인접한 지역에 조성 중인 ‘바이오 밸리’ 부지 4만5,000평도 현재 25% 정도가 보상가 마찰로 매입을 못해 일정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진주시 교육청도 금산면에 30학급 규모의 초등학교를 2008년 3월까지 신학기에 맞춰 개교할 예정이었으나 학교설립 예정지 토지소유주들이 과도한 보상을 요구하고 나서 개교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밖에도 하대동 선학4거리에서 부흥교 간 국도 33호선 시가지 통과도로 8차로 확장사업이 지주들과 보상가 마찰로 공사진척이 늦어지는 등 땅값 폭등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로편입부지 등 각종 공공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토지 소유주들이 땅값 상승에 따른 기대심리가 너무 큰 탓에 보상협의에 난항을 겪고 있다”며 “모든 사업비가 땅값 상승을 따라갈 수 없는 만큼 도시발전을 위해 서로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