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특구에 '선택과 집중을'] 1.대덕R&D특구 개발가속도 붙여야

‘한국의 실리콘밸리’ 출발 삐걱<BR>특별법 발효 불구 지원본부 출범조차 못해<BR>기술상업화 받쳐줄 마케팅업체 입주 절실<BR>특구 명성에 걸맞게 범정부적 지원 나서야



[특구에 '선택과 집중을'] 1.대덕R&D특구 개발가속도 붙여야 ‘한국의 실리콘밸리’ 출발 삐걱특별법 발효 불구 지원본부 출범조차 못해기술상업화 받쳐줄 마케팅업체 입주 절실특구 명성에 걸맞게 범정부적 지원 나서야 대전=박희윤 기자 hypark@sed.co.kr "대덕연구개발(R&D)특구사업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확고한지 의심스럽습니다. 특구 성공에 필수적인 외국인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여건 조성 등도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대덕R&D특구가 지난달 28일 관련법과 시행령이 발효됐는데도 아직 특구를 관리할 지원본부 이사장을 선임하지 못하고 출범식과 현판식도 연기하는 등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이러다가 특구가 제대로 가동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까지 제기되고 있다. 대덕에 집중된 우수 연구인력과 R&D 인프라를 토대로 혁신클러스터를 강화하고 기술의 산업화를 촉진, 실리콘밸리처럼 국가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겠다는 목표가 처음부터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마케팅 기반 구축 필요=대덕밸리 기업인들은 대덕특구의 가장 큰 취약점으로 마케팅 기반이 약하다는 점을 꼽고 있다. 대덕밸리 벤처기업들이 우수한 제품을 개발, 생산해도 이를 팔아야 할 곳을 물색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일개 벤처기업이 해외시장을 개척하기란 쉽지가 않다. 업계에서는 대덕특구 내에 세계적 수준의 마케팅 업체들이 자리잡도록 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위월드㈜의 박찬구 사장은 "대덕R&D특구의 비전이 앞선 기술의 상업화임에도 불구하고 대덕특구의 상업화 기반은 미약하기 그지없다"고 지적했다. 임채환 대덕밸리 정책자문관도 "벤처기업의 제품을 사줄 대형구매업체가 대덕에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금 조달통로가 원활해지도록 대형펀드를 조성하고 국내 우량 캐피털사의 대덕 진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이들을 유치하는 데 적극 노력해줄 것을 주문하고 있다. ◇외국인 정주여건 개선 시급=대덕R&D특구의 성공을 위해서는 국제 클러스터로 거듭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외국계 글로벌 기업, 외국기업 연구소들이 특구 내에 들어와 국내 연구소ㆍ기업ㆍ대학과 연계돼 돌아갈 때 시너지를 제대로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해외 연구기관 유치에 나서고 5만명 규모의 외국인 기업 전용공단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외국인들의 생활여건은 너무 열악하다.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자녀교육 여건이 꼽히고 있다. 성인은 불편해도 감수하며 살아갈 수 있지만 자녀들이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면 어떤 외국인들도 대덕으로 발길을 옮기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외국인 유아를 위한 보육시설이나 유치원 등도 필요하다. 의사소통ㆍ교통ㆍ의료ㆍ송금 문제 등 모든 사회시스템이 국제화돼 있지 못하다는 지적도 들린다. 1년마다 갱신해야 하는 비자 시스템도 외국인들에게 골머리를 앓게 만든다. 공신력 있는 기관ㆍ기업에 근무하는 외국인이라면 계약 여부에 따라 '장기 체류 비자'를 주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범국가적 사업으로 지원을=대덕R&D개발사업이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는 특구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전폭적 지원에 달려 있다. 특구로 지정만 해주고 특구의 명성에 걸맞은 지원을 하지 않을 경우 특구는 이름뿐인 곳으로 전락할 것이 뻔하다. 무엇보다 과학기술부 차원이 아닌 산자부ㆍ국방부 등 관련부처의 적극적 참여와 협조가 있어야 한다. 입력시간 : 2005/08/08 17:59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