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휘발유 대란’ 中전역으로 확산

광둥성 이어 상하이등도 공급부족에 아우성<br>정부“사재기가 주요인” 가격인상 억제 확고<br>업체 공급꺼리며 반발…사태 더욱 악화될듯

광둥성에서 촉발된 휘발유 대란이 상하이ㆍ칭다오 등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국영 석유업체들은 정부와 가격 인상 억제에 반발하며 공급을 꺼리고 있어 사태는 더욱 악화될 조짐이다. 더욱이 해외로부터의 석유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기업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광둥ㆍ상하이 등 “휘발류 더달라” 아우성= 18일 중국과 홍콩의 주요 언론에 따르면 중국 남부 선전ㆍ광저우 등 대도시들이 들어선 광둥성에서는 휘발류 부족으로 주민들이 아우성을 치고 있다. 특히 선전시에서는 석유 부족으로 시내 250여개 주유소 가운데 절반이 넘는 130여개가 공급 부족으로 휘발유 판매를 중단한 상태고 광저우도 주유소의 70% 이상이 문을 닫았다. 이 같은 현상은 상하이 등 인근 대도시를 비롯한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헤이룽장, 칭다오, 쿤밍 등에서는 각 주유소마다 차량이 장사진을 이루며 석유쟁탈전이 벌어지고 있으며 윈난성에서는 저가 무연휘발유 등이 바닥나 쿤밍의 주유소 70% 이상이 공급을 하지 못하고 실정이다. 특히 헤이룽장성의 경우 러시아가 석유 공급량을 30% 줄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현지 석유화학업체까지도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칭다오 시내의 주유소 절반도 이미 정상적인 석유공급을 할 수 없는 상태고 산둥(山東)성 지난(濟南)에서도 저급 무연휘발유를 판매치 못하고 있다. ◇중국 정부 “사재기가 원인”… 석유업체선 ‘가격 인상해야”= 문제는 휘발류 부족사태가 중국 전역으로 번지고 있지만 해소조짐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이번 사태를 몰고 온 주역인 중국 정부와 석유업체간 대립만 심해지고 있다. 중국경제기획기구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최근 휘발유 부족사태는 태풍으로 인한 선적지연과 유가상승을 노린 일부 업체들의 사재기가 주요인 이라며 휘발유 가격 인상을 원천 반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페트로차이나와 시노펙 등 양대 국유 정유사들은 최근 국제유가가 배럴당 67달러를 돌파하면서 국내 공급가격보다 배럴당 최고 20달러나 비싼 원유를 수입하게 되자 “휘발유 가격을 올려야 한다”며 시장공급을 꺼리고 있다. 중국 유가는 전달 국제유가 수준을 고려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소매가 기준을 결정하는 데 일일 가격 변동폭을 8%로 제한, 현재 배럴당 43~47달러 수준에 달하고 있다. 선전 소재 연합증권의 치안샤오위 애널리스트는 “두 정유사를 나무랄 수만은 없다”며 최근의 휘발류 대란은 정부 통제의 폐단에 기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몇몇 언론들도 “휘발유 부족은 정부 주도 혼합경제로 인한 것”이라며 정부의 가격통제를 비난했다. 반면 에너지 컨설팅 업체인 안바운드의 허쥔 전문가는 “정부의 가격통제가 불합리한 점은 많지만 기업이라면 시장수요를 예측해야 하고, 독점적 이득을 누리면서도 당장의 손실 때문에 공급량을 늘리지 않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며 정유사들을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