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北, 서해서 해안포 130여발 발사

"포탄 NLL 남쪽 넘어와… 우리 군 피해는 없어"


북한이 9일 우리 육ㆍ해ㆍ공군의 대(對)잠수함 합동훈련 종료 직후 서해 백령도와 연평도 인근 해상에 해안포 130여발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날 발사된 해안포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쪽에 떨어졌지만 우리 군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 3월26일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북한군의 도발행위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이에 우리 군 당국은 즉각 경계 및 전투태세를 강화하고 적의 동태를 면밀히 감시하는 한편 북측에 경고방송을 했다. 또 북한군의 추가 도발 가능성이 있어 인근 우리 측 어선의 출항을 금지했다.

군의 한 관계자는 이날 "북한 군이 오후5시30분부터 3분간 백령도 NLL 인근 해상에서 10여발을, 오후5시52분부터 6시14분까지 연평도 앞 NLL 인근 해상에 120여발의 해안포를 각각 발사했다"며 "일부 해안포는 NLL 남쪽 백령도 인근 해상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해군은 오후5시49분에 경계 및 전투 대비 태세를 강화했고 5시53분에는 무선으로 북한에 경고방송을 했다"며 "오후6시14분 이후에는 추가 사격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군 당국자는 "북한군의 사격에 따라 물기둥과 포성이 관측됐으나 우리 군의 피해는 없었다"며 "우리 군의 서해 훈련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날 우리 군의 합동훈련 직후 북한이 해안포를 발사한 것은 우리 군과의 교전을 피하면서 올해 말까지 매달 실시할 계획인 우리 군의 서해 훈련을 저지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앞서 북한은 우리 군의 서해 대잠훈련과 관련해 "노골적인 군사적 침공행위"라고 규정하며 "강력한 물리적 대응타격으로 진압하겠다"고 위협한 바 있다.

북한은 현재 서해 NLL 북측 해역에 900여문의 해안포를 집중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안포의 사거리는 최대 27㎞이며 백령도와 연평도ㆍ대청도 등 우리 서해 섬들은 대부분 북한 해안포의 사정권에 들어간다.

하지만 우리 군은 해안포 포격을 입더라도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대응할 태세를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백령도와 연평도에 배치된 사거리 40㎞의 K-9 자주포는 발포한 해안포의 위치를 즉각 찾아내 응사하도록 자동화돼 있다. K-9 자주포는 1분당 6발을 쏠 수 있으며 급속발사시에는 15초에 3발을 발사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