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파트 반값 공급 가능한가

이론적으로는 되지만 실현 가능성은 "글쎄"


서울 지역에서 아파트를 평당 500만원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까.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출마를 선언한 홍준표 의원이 ‘아파트 반값 공급’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실현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홍 의원은 건물만 분양하고 토지는 임대하면 아파트 분양가를 현 시세의 절반으로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동산 투기의 원인이 토지에서 발생하는 만큼 토지 임대를 통해 개발이익을 공공기관이 지속적으로 환수하면 투기적 가수요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토지가격이 분양가에서 빠지는 만큼 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아파트 반 값 공급이 가능하다. 실제 시민단체인 토지정의시민연대도 줄곧 이 방식을 주장해오고 있다. 문제는 과연 실현 가능성이 있느냐 여부다. 당장 투입하는 막대한 재원을 어떻게 마련하느냐가 숙제로 떠오르고 있다. 건설산업연구원 김선덕 소장은 “공공기관의 권한 변경, 막대한 재원 마련 등 여러 문제가 얽혀 있는 복잡한 사안”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토지 임대료도 쟁점이 되고 있다. 열린우리당 서울시장 후보 출마를 선언한 이계안 의원은 “연기금(금리 6%)을 사용해 2억 짜리 토지를 임대하고 건물만 분양 받을 경우 분양자는 매달 100만원의 토지 임대료를 부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실련도 “아파트를 아무리 싼 값에 분양해도 토지 임대료가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소비자들이 지불해야 할 비용은 줄지 않을 수 있다”며 토지 임대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아파트 용적률에 인센티브를 주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반박하고 있다. 1만평을 재개발할 경우 토지비로 1,000억원 가량이 소요된다고 했을 때 용적률에 인센티브를 줘서 900억원을 건물 분양으로 회수하면 토지 임대료가 10분의 1수준으로 낮아진다는 논리다. 홍 의원은 이를 위해 재건축ㆍ재개발 용적률에 제한을 두지 말고 고밀도로 개발하고 층고 제한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아파트 반값 공급 목표에만 매달려 규제를 대폭 풀 경우 주거환경이 급격히 나빠지는 문제를 낳게 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홍 의원의 ‘아파트 반 값 공급’주장에 대해 대체적으로 회의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적어도 분양가를 낮추는 계기는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는 나오고 있다. 정부에서는 ‘8.31 후속대책’으로 택지 개발비 및 보상비 인하 등을 통해 아파트 분양가를 대폭 낮추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분양가 인하 논란이 촉발된 만큼 정부가 주도권을 갖고 있는 공공 택지는 어떤 식으로든 분양가 인하 효과가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