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부분 내부승진 조직활성화

■ 차관인사 특징경제·외교안보등 유임 국정연속성 살려 19일 단행한 차관인사는 대부분 각 부처 업무에 정통한 인사들로 내부승진을 시키거나 관련기관에서 발탁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는 행정의 전문성과 연속성을 최대한 살려 집권 후반기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가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선숙 청와대 대변인은 "이번 인사는 주로 공직내부에서 능력 있는 사람을 발탁 기용, 공직사회의 분위기를 쇄신하고 사기진작을 통해 조직을 활성화하면서 국정운영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기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장관과 차관이 동시에 바뀐 부처가 문화관광부와 보건복지부 뿐이라는 점과 외교안보 및 경제분야 부처 차관들은 교체가 없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번 인사는 또 공직사회의 사기진작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인사 공백이 조달청장과 총리 비서실장 2명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재임기간이 긴 행정자치ㆍ문화관광ㆍ보건복지부 차관 등을 교체, 내부 발탁함으로써 공직사회인사에 숨통을 트이고 활력을 불어넣었다. 지난번 '7ㆍ11 개각'에 이어 차관(급) 인사에서도 신언항 보건복지부차관ㆍ김주현 중앙공무원연수원장 등 청와대 출신 인사들이 국정 일선으로 진출한 것도 눈에 띈다. 이번 인사는 철저히 실무능력을 중시함에 따라 각 부처 장관의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되고 지난 11일 임명된 장 상 총리서리는 차관급 인사와 관련, 거의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번 인사에서는 국민화합을 위해 지역안배에도 신경을 쓴 흔적이 역력하다. 서울과 인천ㆍ강원ㆍ충남ㆍ경북ㆍ전북ㆍ평남 출신 등이 골고루 1명씩 발탁됐고 전남출신은 2명이다. 한편 일부 교체부처 차관의 경우 개각 하마평에 올랐다가 입각이 무산된 뒤 노골적으로 인사에 불만을 드러내는 등 물의를 빚은 데 대한 문책의 성격도 반영됐다는 후문이다. 이는 집권말기 공직기강을 바로잡고 연말 대통령선거 등 중요한 정치적 일정을 앞두고 공직사회의 동요를 차단, 엄정한 정치적 중립속에 일하는 공직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김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안의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