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내년초 만기 회사채 4兆…위기설 부채질

기업 자금상환 압박 가중 우려


기업들이 지고 있는 빚이 내년 초에 4조원이나 도래하는 점도 ‘3월 위기설’을 가중시키고 있다. 조선ㆍ자동차 등 주요 업종의 경기 호황을 타고 수천억원 단위로 발행됐던 회사채 만기가 내년부터 속속 돌아옴에 따라 기업들의 자금상환 압박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또 건설 ㆍ조선 등 주요 경기 악화세가 지속될 경우 은행권이 이들 업종에 빌려줬던 여신을 상환하라는 압박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회사채 발행 잔액은 지난 8월 사상 최고치인 72조원대를 정점으로 줄어들기 시작해 10월 말 현재 71조원대를 기록했고 이 가운데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이 내년 1월 8,944억원, 2월 1조7,103억원, 3월 1조3,661억원 등 1ㆍ4분기에만 4조원 안팎에 달한다. 내년 한해 동안에는 18조5,935억원에 이른다. 자금시장이 정상적으로 돌아갈 때는 만기가 돌아와도 차환 발행을 통해 자금을 상환하면 되지만 자금시장 경색이 계속될 경우 만기가 돌아오면 채무를 상환할 수밖에 없어 기업의 자금난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2006년 경기 호황을 타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번에 5,000억원씩 대규모로 채권을 발행했다”며 “이들 회사채 만기가 내년 초를 전후해 돌아오기 때문에 자금시장 경색이 지속될 경우 기업의 자금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2001년에도 대기업 회사채 만기가 집중 도래하면서 그렇지 않아도 파행을 겪던 자금시장이 더욱 경색됐고, 결국 정부가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도입해 자금위기를 넘겼었다. 은행권은 현재 건설사가 호황기 때 단기자금 조달을 위해 대거 발행했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을 9조원가량 보유하고 있고 만기가 도래하는 이들 유동화증권에 대한 상환압박을 펼치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건설업 등 경기침체 업종의 대출은 이미 만기가 도래했지만 기업이 상환하지 못해 마지못해 여신을 만기 연장해주는 사례가 허다하다”고 설명했다. 은행권은 현재 ABCP를 포함해 47조9,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갖고 있는 등 기업대출 총 규모가 514조원에 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