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3분기 가계주택자금 대출수요 급감

4분기 감소폭 더욱 확대..99년 이후 최저 전망<br>금융감독당국 규제와 8.31대책 영향

금융감독당국의 주택담보대출 규제와 정부의 8.31 부동산대책의 영향으로 3.4분기 가계의 주택자금 대출수요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4.4분기에는 주택자금 대출수요가 더욱 줄어 1999년 1.4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7개 국내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해12일 내놓은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3.4분기중 가계의 주택자금대출수요지수는 마이너스 6으로 작년 1.4분기 이후 1년반만에 다시 감소세를 기록했다. 대출수요지수가 마이너스를 나타내면 대출수요가 전분기에 비해 감소했다고 보는 국내은행이 그렇지 않다고 보는 국내은행보다 더 많음을 뜻하며, 플러스이면 그반대를 의미한다. 주택자금 대출수요지수는 작년 1.4분기 마이너스 6을 나타낸 후 2.4분기와 3.4분기에는 각각 12, 9를 기록했다가 4.4분기에는 0으로 떨어졌다. 올 들어서는 1.4분기에 15를 나타냈고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경쟁이 심했던 2. 4분기에는 29로 껑충 뛰었다. 올 4.4분기중 가계의 주택자금 대출수요지수는 마이너스 18로 관련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택자금 수요지수가 3.4분기에 이처럼 떨어진 것은 금융감독당국의 주택관련규제조치와 정부의 8.31 부동산대책 등이 시행된 데 따른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부동산대책이 발표된 2003년 3.4분기에도 주택자금 대출수요지수가 마이너스 12를 나타냈다"며 "올 4.4분기에도 8.31대책 등으로 인해 대출수요감소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국내은행들은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의 대출수요지수는 3.4분기와 4.4분기 모두 15로 나타나 운전자금 등을위한 대출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대기업의 대출수요지수는 풍부한 내부자금와 수익성 호조로 3.4분기에는마이너스 6으로 감소세로 전환됐으며, 4.4분기에는 0을 나타내 대출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