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승패가 정국방향타

여야 "2곳 모두 이기면 향후 주도권 장악"10ㆍ25 재ㆍ보선 결과는 최근 대치정국과 관련한 민심흐름을 파악하고 내년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까지를 염두에 둔 정국운영 전략을 수립하는데 방향타가 될 전망이다. 이번 재ㆍ보선은 비록 3명의 국회의원을 다시 뽑는 선거이지만 지역주의적 색채가 비교적 약한 서울과 강원도 지방에서 선거가 치러지고 여야 모두 민심장악을 위해 중앙당 차원에서 당력을 집중해 전력투구를 했기 때문이다. 특히 동대문을과 구로을 등 서울지역 2곳의 선거는 내년 양대선거의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의 향배를 짚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있다. 일단 민주당이 서울지역 두 곳을 모두 이기면 여권은 야당의 각종 의혹제기와 정치공세에 대한 심판으로 간주, 자신감을 바탕으로 개혁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DJP 공조파기로 '소수여당'으로 전락한 상황을 국민 직접상대 정치로 정면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한나라당은 공천을 주도한 당 지도부에 대한 인책론과 함께 그동안 목소리를 낮춰온 이부영ㆍ김덕룡 의원 등 비주류 중진들의 이회창 총재에 대한 공세도 본격화되고 김영삼 전 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 총재간의 연대움직임도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한나라당이 강릉보선에서 이기더라도 서울 두곳에서 질 경우에는 이런 상황이 조성될 개연성이 높아 보인다. 정반대로 한나라당이 서울지역 2곳을 포함, 이번 선거에서 모두 승리할 경우 야당은 정국 주도권이 한층 강화되는 것은 물론 이 총재의 대세론은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여권은 김대중 대통령의 국정장악력이 약화되고 비주류나 소장파 의원들에 의한 국정쇄신론과 당정개편론이 제기되는 것은 물론 대선후보의 조기 가시화론도 고개를 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서울 선거에서 1승1패가 될 경우 여야는 각기 아전인수식 해석을 계속하며 정기국회를 무대로 정국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대립과 경쟁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그러나 이번 선거기간에 무차별적으로 고소ㆍ고발전을 전개하고 폭력사태까지 촉발되는 등 과열ㆍ혼탁상이 빚어졌다는 점에서 이같은 감정적 대립구도는 예산안 심의 등 남은 정기국회 일정에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혼탁선거와 장기화되고 있는 대치정국에 대한 여론의 비판도 만만치 않은 만큼 대화정국 복원 움직임도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양정록기자 구동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