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대외채무가 1년 전에 비해 1,300억달러나 급증하는 등 대외채권에 비해 대외채무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외채 성격이 외환위기 때와는 다르다고 하지만 이런 추세라면 조만간 순채무국으로의 전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08년 3월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대외채무는 4,124억8,000만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303억달러, 1년 전 대비 1,307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이중 단기외채 비중은 지난해 말 41.9%에서 42.8%로 높아졌다. 또 단기외채에다 1년 이내 만기도래분인 장기외채를 더한 유동외채는 2,155억6,000만달러로 대외채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2.3%를 나타냈다. 이는 전년 말보다 1.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반면 우리나라의 대외채권은 지난해 말 대비 97억2,000만달러 증가한 4,274억3,000만달러에 그쳤다. 이에 따라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 규모는 149억5,000만달러로 2007년 말보다 205억8,000만달러 줄었다. 순대외채권은 외환위기 때인 1997년 말 -680억8,000만달러에 달했으나 2000년 순채권국으로 돌아선 후 2005년 말 역대 최고치인 1,207억달러까지 증가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대외채권에 비해 대외채무가 빠르게 불어나며 빨간불이 켜진 실정이다. 이처럼 순대외채권이 급감한 이유는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대외채무로 잡히는 채권투자 위주로 이뤄진 반면 내국인의 대외투자는 대외채권에서 제외되는 주식투자(해외펀드) 중심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특히 최근 수년간 조선업체와 투신권에서 선물환을 매도하고 이를 은행권이 받아주는 과정에서 해외에서 달러(단기외채)를 대거 차입한 것이 외채 증가를 부채질한 것으로 분석됐다. 유병훈 한은 국제수지팀 차장은 “외채가 많이 늘었지만 외환위기 때와 지금은 외채 성격이 많이 달라 과대 위험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라며 “당시에는 경상적자를 메우기 위해 단기외채를 들여온 것이지만 지금은 조선사와 해외증권 투자의 환헤지용과 연관된 외채여서 받을 달러가 들어오면 외채는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외채무 비율(2007년 말 기준)은 39.2%로 미국(93.0%), 일본(41.0%), 영국(417.9%), 독일(153.1%) 등 주요 국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홍준석기자 jshong@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