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물ㆍ기름에 젖지 않는 나노섬유 신소재 개발

기계연 임현의 박사팀

단 한 번의 공정으로 물과 기름이 전혀 묻지 않는 액정이나 섬유, 유리, 페인트 등을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 프린팅공정ㆍ자연모사 연구실 임현의 박사팀은 후처리 공정없이 단 한 번의 전기 방사 공정만으로 물과 기름에 젖지 않는 새로운 물성을 갖춘 나노섬유 표면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또 나노섬유의 직경과 분포를 조절해 물이나 기름에 젖지 않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기법도 함께 내놓았다. 기존에는 물이나 기름에 젖지 않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복잡한 후처리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연구팀은 테플론 계열의 고분자 물질을 전기 방사공정만 사용해 물과 기름에 전혀 젖지 않는 나노섬유 형태의 표면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지문이 묻지 않는 휴대전화나 비에 젖지 않는 옷, 기름이 침투하지 못하는 기능성 의류 등 다양한 신소재 상품 제작에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임현의 박사는 “이번 연구는 신비로운 기능의 표면을 지닌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새로운 소재를 구현하려는 연구에서 시작됐다”며 “자연을 닮은 재료를 응용하면 고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무궁무진한 신소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고분자 과학계의 권위 있는 논문집인 ‘Macromolecular Materials and Engineering’(고분자 물질 공학) 11월호 표지로 소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