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세계금융 불안에 대응력 키워야

[사설] 세계금융 불안에 대응력 키워야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우려한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엊그제 한 국제회의에서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경기둔화 가능성을 우려하자 세계 금융시장은 심한 충격에 휩싸이고 있다. 뉴욕주식시장은 사흘 연속 급락했고 유럽과 아시아 주식시장도 동반 급락했다. 현충일 휴장으로 하루 쉬었던 우리 시장도 직격탄을 맞아 코스닥시장은 무려 6%(36포인트)나 빠졌다. 거래를 일시 중지하는 사이드카까지 발동됐다. 코스피지수 역시 35포인트나 떨어져 1,300선 밑으로 주저앉았다. 말 그대로 폭락장세로 투자자들은 거의 패닉(심리적 공황) 상태에 빠졌다.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더 이상 증폭돼서는 곤란하다. 금융시장의 불안이 실물경제의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주가하락은 자산가치의 감소로 이어져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 수출둔화에 이어 내수마저 부진하고 투자감소까지 겹칠 경우 우리 경제의 회복세는 더 늦어질 수밖에 없다. 금융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물론 외부 요인에 의한 충격은 어쩔 수 없겠지만 그 충격을 최소화하는 데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늘 4%인 콜금리의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세계적인 금리인상 추세에 우리만 비켜갈 수는 없는 일이지만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현명한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정부 여당도 경제안정에 주력해야 한다. 5ㆍ31지방선거 참패 원인을 놓고 당정간에 빚어지고 있는 혼선을 서둘러 수습해야 한다. 대외요인이 불안한 상황에서 내부적인 문제로 불확실성이 증폭돼서는 안 된다. 우리 경제는 지금 우물 안 개구리식의 다툼을 할 만큼 여유롭지 않다. 국제경제의 조류에 밀리지 않고 경제 전반을 회생시킬 수 있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참여정부의 철학을 실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장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는 노력도 필요하다. 정부가 마련 중인 하반기 경제운용계획에는 외부 충격에 강한 경제체질을 구축하는 방안이 포함돼야 한다. 입력시간 : 2006/06/07 17:0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