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율주권론 내세웠던 '崔·姜라인' 결국 환율에 발목 잡혀

姜재정 적극추천에 컴백 최중경 차관 외환시장 오판 책임 넉달만에 물러나<br>"姜장관 대신 崔차관이 희생양" 지적

적극적인 외환시장으로 환율 주권론을 내세웠던 ‘최강(崔姜) 라인’이 결국 환율에 발목이 잡혀 무너졌다. 개각에서 교체논란이 불거진 경제팀에 대해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이 유임되는 대신 최중경 제1차관은 경질로 결론났기 때문이다. 최 차관은 지난 2003~2005년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장 시절 무리한 환율 방어로 국제부흥개발은행 상임이사로 좌천됐다 강 장관의 적극적인 추천에 힘입어 2단계 승진하며 화려하게 컴백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환율시장에 대한 오판 책임을 지고 취임 4개월 만에 물러나게 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일찌감치 강 장관 유임 방침을 정해놓고 여론의 동향을 살펴왔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하지만 현 경제팀이 경상수지 방어와 성장률 달성을 위해 고환율 정책을 펴다 물가상승을 유발한 데 대해 여권 내부에서조차 교체 불가피론이 제기되자 대신 최 차관을 인책했다는 것이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7일 최 차관 경질과 관련, “물가관리 측면에서도 그랬지만 실제로 환율 등의 기조 설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환율을 최종 책임졌던 차관을 경질함으로써 이 같은 여론을 수렴했다”고 설명했다. 최 차관 경질에 대해 재정부 내에서는 ‘당혹스럽다’ ‘억울하게 희생됐다’라는 반응이 우세하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현 정부 출범 초기에는 물가보다는 경상수지 적자가 더 큰 문제였다”며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140달러를 순식간에 돌파한 것은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던 사안”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경제가 이렇게 어려워진 것은 기본적으로 고유가 등 대외변수에 의한 것인데 이에 대해 차관에게 책임을 묻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최 차관을 환율논란의 희생양으로 삼은 것 아니냐”고 항변했다. 장ㆍ차관의 역할분담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한 관계자는 “그동안 최 차관이 금융ㆍ외환 전문가로 강 장관을 대신해 금융위원회나 한국은행 등과 논의를 주도했다”며 “갑작스런 교체로 장관이 전면에 등장해야 하는 상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다른 간부는 “대외요인 등으로 제대로 된 경제정책 한번 펴보지도 못하고 떠나는 게 너무 안타깝다”며 “결과적으로 강 장관의 리더십도 상처를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후임 김동수 차관의 등장으로 재정부 정책 기조는 물가ㆍ민생 안정에 더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김 차관은 차관보 시절 물가ㆍ고용 문제를 전담해왔다. 별명이 ‘최틀러’로 강성인 최 차관과 달리 온화하고 합리적인 업무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김 차관 승진으로 공석이 된 차관보(1급) 자리에는 노대래 기획조정실장(1급)이 유력하다. 이 경우 1급 승진 1순위인 임종룡 경제정책국장이 기획조정실장으로 승진할 가능성이 높다. 또 임 국장이 곧바로 차관보를 맡는 방안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