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결정방식 싸고 잡음

일부 출마자 "여론조사 아닌 대규모 국민경선 해야" 주장

광역자치단체장의 후보 결정 방식을 놓고 민주당 내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지방선거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거나 경합이 치열한 지역일수록 경선 방식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한 김성순 의원, 이계안ㆍ신계륜 전 의원, 경기도지사를 준비하고 있는 이종걸 의원, 인천시장에 도전한 유필우 전 의원 등은 4일 기자회견을 열어 경선을 여론조사 방식이 아닌 인터넷ㆍ모바일ㆍ현장투표를 포함하는 대규모 국민경선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가 6ㆍ2 지방선거에 나갈 광역자치단체 후보에 대한 경선 방식으로 여론조사 50%, 당원 투표 50% 방침을 정한 것에 반발하는 것이다. 기자회견에서 이들은 "이번 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당내 경선에서는 지도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국민의 손으로 직접 후보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계안ㆍ신계륜 전 의원은 100% 국민 경선 원칙도 발표하기도 했다. 이종걸 의원은 "인터넷ㆍ모바일 투표는 이미 민주노동당이나 국민참여당도 하고 있고 지난 대통령 경선 때도 시행했던 제도인데 이를 없애면서 과거로 가겠다는 경선은 이미 몇 사람을 정해놓고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여기에 여론조사 비율 50%안은 실제 표심을 반영하지 못할 뿐더러 경선 열기도 살릴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시민공천배심원제에 대한 논란도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정세균 대표 등은 텃밭인 광주 호남지역에서의 시민공천배심원제를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의 반발로 1차 적용 대상 선정 작업이 미뤄지고 있다. 또 시민공천배심원제를 예선전의 컷오프 방식으로 할 것인가, 최종 후보 선전 방식으로 할 것인가를 두고도 의견이 모아지지 않고 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공천을 둘러싼 이런 논란에 대해 "공천방식에 대한 논란은 선거 때마다 항상 등장하는 단골 메뉴"라면서도 "다만 선거 이후 당권싸움과도 연계돼 논란이 더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나 우려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