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표적수사 없다" 임채진 검찰총장 의혹 진화

검찰의 권력형 비리 의혹 수사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옛 여권을 겨냥한 표적수사’라는 일부 비난에 대해 임채진 검찰총장 등 검찰 수뇌부가 진화에 나섰다. 9일 임 총장은 수원지검을 지도 방문한 자리에서 직원 훈시문을 통해 “최근 사회 일각에서 검찰 수사의 배경과 의도의 순수성에 대해 의혹을 제기해 매우 안타깝다”며 “우리는 수사 결과로 그 의구심이 전혀 근거 없음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총장은 “지난 2004년부터 고위공직자 비리, 지역토착 비리, 공기업 비리, 법조 비리 등을 4대 중점 단속 대상으로 정해 꾸준히 단속활동을 전개해왔다”며 “다시 한번 마음자세를 가다듬고 고위 공직자 비리와 지역토착 비리의 척결에 검찰의 모든 역량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권재진 대검 차장이나 최재경 대검 수사기획관, 김수남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 등도 수사역풍 차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들은 기회가 생길 때마다 대선ㆍ총선 때문에 특수수사가 미뤄지다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진행됐을 뿐 절대 어떠한 의도도 갖지 않았다고 해명하고 있다. 최 기획관은 “(공기업 수사 착수 이후) 3월부터 제보나 투서가 많이 들어와 수사가 탄력을 받고 있다”며 “정치적 시각에서 곡해하지 말고 수사는 수사로만 봐달라”고 주문했다. 다른 검찰 관계자 역시 “자꾸 옛 여권을 겨냥한다고 하는데 검찰이 김옥희씨나 유한열 전 한나라당 상임고문 등도 수사하지 않았느냐. 여야 구분하지 않고 범죄 단서나 정황이 있으면 수사하는 것이며 결과를 보고 평가해달라”고 말했다. 하지만 검찰 수뇌부의 잇단 해명에도 불구하고 검찰 수사가 옛 정권을 겨냥한 표적수사라는 모양새를 띠고 있어 논란은 상당 기간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