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 후진타오 체제 출범

중국의 최고 입법ㆍ의결 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大)는 15일 후진타오(胡錦濤) 당총서기를 새 국가주석에, 우방궈(吳邦國) 정치국 상무위원을 서열 2위의 전인대 상무위원 선출한데 이어 16일 원자바오(溫家寶ㆍ61) 상임부총리를 서열 3위의 국무원 총리에 인준, 4세대 지도체제의 닻을 올렸다. 제 10기 전인대 1차회의는 15일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2,943명의 대표가 참석한 제5차 전체회의를 열고 후 총서기를 5년 임기의 국가주석직에 선출, 그를 정점으로 한 새로운 정부를 출범시켰다. 이어 16일에는 기술관료 출신의 원자바오 상임부총리를 주룽지(朱鎔基)의 뒤를 잇는 임기 5년의 새 국무원 총리에 인준했다. 이로써 중국의 새 정부는 후진타오 국가주석-원자바오 총리-우방궈 전인대 상무위원장(국회의장에 해당)의 3각 지도체제를 중심으로 한 4세대 통치 시대를 열었다. 후진타오 주석은 작년 11월 제 16차 당대회에서 총서기에 오른 데 이어 국가주석직에도 당선, 당ㆍ정의 권력을 모두 손에 거머쥐었다. 또 장쩌민(江澤民)국가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의 측근인 우방궈(吳邦國) 신임 전인대 상무위원장도 15일 전인대 전체회의에서 권력 서열 2위의 요직에 선출됐다. 장 주석이 군사위 주석에 재선된 것을 제외하곤 리펑(李鵬) 전 전인대 상무위원장, 주룽지 전 총리, 리루이환(李瑞環) 전 정협 주석 등 3세대 지도부는 모두 퇴진,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지면서 세대교체의 길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장 주석은 막강한 국가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유지한데다 우방궈 전인대 상무위원장, 권력 서열 5위의 쩡칭훙(曾慶紅)국가 부주석 등 자신의 측근을 권력핵심에 포진시켜 최소한 3년동안 배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최윤석기자 yoep@sed.co.kr>

관련기사



최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