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외국계 기업에 취업하는 전략은

자유로운 기업 분위기, 비교적 높은 연봉, 능력에 따른 대우 등의 이유로 외국계 기업을 선호하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외국계 기업은 실무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경력자들을 주로 채용하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입사하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www.incruit.co.kr)의 도움으로 외국계 기업에 취업하는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 ◇ 정보가 힘 = 대규모의 공채를 진행하는 국내 대기업과 달리 외국계 기업들은대부분 소규모 인원을 수시로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틈틈이 업체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확인하지 않으면 채용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모르는 '낭패'도 겪을 수도 있다. 또 외국계 기업은 결원이 생길 때마다 그때그때 충원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관심이 있는 업체에 미리 이력서를 보내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외국계 기업의 채용 정보와 개별 업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등은 한국외국기업협회(www.forca.org)나 주한미국상공회의소(www.archarm.org)에서 얻을 수 있다. ◇ 인맥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 수시로 직원들을 뽑는 외국계 기업은 사내추천제도나 헤드헌팅을 통해 사원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국계기업에 다니는 사람들끼리 결성한 동아리 등에 가입, 인맥을 쌓는게 취업에 유리하다. 또 헤드헌팅업체 등은 등록된 이력서를 통해 회원인 외국계 기업에 사원을 추천하므로 이들 업체에 미리 이력서를 접수시켜 놓는 것도 방법이다. ◇ 업무 경력은 '기본' = 외국계 기업은 학력 등의 배경보다는 실무 능력을 가장 중시한다. 따라서 인턴십을 운영하고 있는 P&G, 로레알코리아 등의 업체를 통해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를 미리 경험하면서 나름대로 '경력'을 쌓는 게 좋다. 인턴십을 통해 부족한 점도 찾을 수 있을뿐 아니라 일부 업체의 경우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기 때문이다. ◇ 전문 자격증을 따자 = 일반 사무직은 컴퓨터 활용능력 등을 보여주는 각종 자격증, 경리.회계직은 미국 공인관리회계사협회의 공인관리회계사(CMA) 자격증 등을 갖고 있으면 취업에 크게 도움이 된다. 자격증이 있으면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보여줄 수 있을뿐 아니라그 일을 할 수 있다는 인상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언어 구사능력, 국내 기업과는 다른 문화 등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취업에 유리할뿐 아니라 직장생활도 원만하게 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